전체기사

2025.10.21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박규리 음성판정, 확진자多 '이태원게이클럽' 방문…"마스크미착용? 쓰고 춤춰"

URL복사

"박규리 음성판정 받고 자가격리 중" 소속사 해명 
"이태원 확진자 나온 게이클럽 방문해 죄송" 공식사과
"사회적 거리두기는 어겼지만 마스크 끼고 춤춰" 재차 강조

 

[시사뉴스 홍정원 기자] 걸그룹 카라 출신 박규리(32)가 다수의 코로나19 확진자를 배출한 이태원 게이클럽을 방문했던 사실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했다. 박규리는 음성판정을 받고 자가격리하고 있다.
 
박규리 소속사(에이전트) 크리에이티브꽃 관계자는 11일 "좋지 않은 일로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현재 박규리는 깊은 반성 중이며 다시 한 번 사과의 말씀 드린다"고 밝혔다.
 
소속사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진자 기사가 나온 날 구청 연락을 받기 전 자진해 선별진료소를 찾아 검사를 받았다"며 "음성판정이 나온 후 자가격리 중이다"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일각에서 나온 박규리가 마스크를 끼지 않고 클럽에서 춤췄다는 지적에 대해선 "마스크는 이태원 게이클럽 입장 시부터 나갈 때까지 계속 착용하고 있었다"고 일축했다.
 
박규리 역시 "모든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에 모두가 지켜야 할 규범을 지키지 않은 점을 깊게 반성하고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사과의 뜻을 전했다. 
 
그는 "마스크는 (이태원 게이클럽) 입장 시부터 나갈 때까지 계속 착용하고 있었다"고 재차 강조한 후 "확진자 기사가 뜬 날 바로 검사를 받고 음성판정이 나온 후 현재 자가격리 중에 있다. 다시 한 번 죄송하다"고 거듭 사과했다.
 
앞서 박규리는 지난 2일 경기 용인시의 66번 확진자가 다녀간 서울 이태원동 소재 게이클럽을 같은 날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게이클럽에 걸그룹 출신 연예인이 들렀다는 소문이 퍼졌고 박규리가 지목됐었다.

 

다음은 박규리와 크리에이티브꽃 각각의 공식입장이다.


[박규리 공식입장]
 
안녕하세요 박규리 입니다.
 
모든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에 모두가 지켜야 할 규범을 지키지 않은 점에 대해 깊게 반성하고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마스크는 입장시 부터 나갈 때까지 계속 착용하고 있었고 확진자 기사가 뜬 날 바로 검사를 받고 음성판정이 나온 후 현재 자가격리 중에 있습니다. 다시 한 번 죄송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박규리 소속사 크리에이티브꽃 공식입장]
 
안녕하세요. 박규리 에이전트입니다.
 
좋지 않은 일로 심려를 끼쳐드려 다시 한번 죄송합니다. 현재 박규리는 깊은 반성 중이며 다시 한 번 사과의 말씀 드립니다. 
 
이어 마스크는 입장 시부터 나갈 때까지 계속 착용하고 있었고 확진자 기사가 나온 날 구청 연락을 받기 전에 자진해 선별진료소를 찾아 바로 검사를 받았고 음성판정이 나온 후 현재 자가 격리 중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제주의 가을 바다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음악 페스티벌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와 제주콘텐츠진흥원, 제주특별자치도는 오는 10월 24일(금) 오후 6시 30분 제주 탑동해변공연장에서 ‘2025 음악실연자 페스티벌(Fall in JEJU, Music ON)’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음악실연자들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다양한 음악 향유 기회를 시민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 제주콘텐츠진흥원, 하이톤이 협력해 추진된다. ‘음악실연자 페스티벌’은 음반에 가창 또는 연주자로 참여했으나 정보 미기재 등의 사유로 분배받지 못한 음악실연자들의 미분배 보상금을 재원으로 활용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 공익목적으로 개최하는 음악 축제다. 행사를 통해 음악실연자의 권익 보호와 음악 저작권에 대한 인식 개선을 도모하고, 대중에게는 티켓 구매 부담 없이 무료로 수준 높은 라이브 음악 무대를 체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페스티벌은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와 제주콘텐츠진흥원이 지난 4월 1일 체결한 업무협약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양 기관은 지역 음악실연자의 창작 지원과 문화 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공동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첫걸음으로 이번 행사를 공동 기획하게 됐다. 한국음악실연자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