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윤호영 기자]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스마트폰의 성능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특히 카메라성능은 전문 촬영장비 없이도 높은 퀄리티의 영상이나 사진들을 촬영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하였으며, 인터넷 또한 실시간 화상채팅이 가능할 정도로 쾌적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발전한 카메라와 인터넷 성능을 이용한 신종 사이버범죄가 생겨나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몸캠피씽’이라는 범죄로 금품갈취가 목적인 신종 사이버범죄로 청소년부터 중·장년층까지 연령대를 불문하고 마수를 뻗치고 있다.
몸캠피싱의 진행유형을 살펴보자면 범죄자들은 피해자가 음란행위를 하도록 조작된 영상을 사용해 성적인 호기심을 자극하게 되며, 소리가 안 들린다고 하거나 화상통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파일을 설치해야 한다고 하는 등 APK파일을 설치하도록 유도한다. 범죄자들이 보낸 APK파일에는 악성코드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할 시 연락처를 비롯한 피해자들의 개인정보가 범죄자들에게 전송된다. 녹화한 영상과 해킹한 연락처를 토대로 금품을 요구하는 것이 몸캠피씽이다.
범죄자들은 협박을 진행할 때 일부를 지목해 유포한다고 하거나 SNS에 유포한다고 협박을 하는 등 피해자를 극단적인 상황으로 몰아붙여 입금을 유도한다. 입금을 하여도 추가적으로 금품요구를 하기 때문에 범죄자들의 요구에는 순응하지 않는 것이 좋다.
현재 몸캠피씽이 사회적인 문제로 떠오르기 시작하자 피해자들을 비롯해 보안업게 종사자들이 모여 몸캠피씽의 심각성 및 예방법 등을 공유하고 있다. 네이버 카페 ‘몸캠피씽 대처방안 카페(이하 몸피카)’라는 곳으로 수천 명에 달하는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몸피카' 관계자는 “협박범들은 초기에 한 차례의 입금으로 동영상 및 연락처들을 삭제해준다고 연락을 해오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금품요구는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되기 때문에 요구에 응하기 보다는 전문적인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모르는 사람이 첨부한 apk파일은 섣부르게 열어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만약 몸캠피싱 피해를 입었다면 apk파일을 보관하고 있어야 향후 원활한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 보관한 뒤 전문가를 찾아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피해확산 방지를 위한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