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수정 기자] 서울 아파트 거래 가격이 최근 4개월 사이에 8.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아파트 ㎡당 평균 거래가격은 727만7000원으로 지난 3월 671만9000원 보다 55만8000원 상승했다.
3월과 비교해 거래가격이 가장 높아진 지역은 양천구다. 정부의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강화로 직격탄을 맞았던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가 5월 저가매물이 소진됐다. 이후 상승세로 전환되면서 넉 달 새 34.8%나 거래가격이 높아졌다. 여기에 목동선 경전철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금 고개를 들었다.
이어 중구가 15.5% 오른 가격에 거래됐다. 중구는 도심과 가까워 주거 선호도는 높지만 아파트가 희소해 집값이 오름세를 보였다.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 기대감까지 더해지며 7월 거래가격이 크게 올랐다.
동작구도 10.4% 상승했다. 동작구는 투기지역에 속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규제를 덜 받는 지역으로 매수자들의 선호도가 높아졌다. 뒤를 이어 용산구가 9.5% 거래가격이 상승했다. 용산은 7월 여의도와 융합 통합개발계획이 발표되면서 개발 기대감이 높아졌다.
직방 관계자는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등의 영향으로 1분기 잠시 주춤했던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며 "정부는 과열현상과 관련하여 투기지역 추가지정 검토에 이어 공시가격 인상 카드까지 꺼냈지만 남은 하반기에도 서울 부동산 시장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하반기에도 서울 부동산 시장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여기에 정부의 규제에도 불구하고 서울 집값 상승은 견조세를 유지하는 시장이 반복되며 매도자 입장에서는 일단 버티자는 전략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