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수정 기자] 서울 강남3구(강남구·서초구·송파구) 주택시장의 열기가 쉽게 식지 않고 있다. 기존 아파트값 상승률이 서울 평균을 웃돌고 있는데다 분양가 규제가 이어지고 있어 '로또 분양'에 대한 기대감이 한층 커졌기 때문이다. 더불어 작년 동기에 비해 분양가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114 아파트 시세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강남3구 아파트값은 8.2대책 규제에도 불구하고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년(2017년 7월 말~2018년 7월말)간 강남3구의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17.72%를 기록해 서울 평균(14.73%), 강남3구제외(12.84%)를 크게 웃돌았다. 올해 1월~7월말 사이에는 9.75% 변동률을 기록해 서울 평균(9%)과 강남3구를 제외(8.51%)한 지역보다 높은 변동률을 기록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강남3구 분양아파트 대부분이 중도금대출이 제한돼 자금력이 충분한 수요자들이 청약, 보유해 웬만한 시장 악재에도 가격이 크게 빠지지 않아 똘똘한 한 채가 강조되는 현 시장 분위기 속에서 분양 아파트에 대한 관심은 더 증가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연말까지 2594가구 분양예정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연말까지 강남3구에서 총 2594가구가 일반분양될 전망이다. 이는 작년 동기(1048가구)의 약 2.5배 많은 수준이다. 분양가구 중 재건축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되는 일반분양가구는 1532가구로, 전체 분양가구의 59.1%를 차지한다. 안전진단강화, 층고제한, 초과이익환수 시행 등의 규제로 재건축 사업 추진이 원활하지 못하면 강남3구에서 신규 아파트를 보기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이처럼 강남3구 분양시장이 여전히 뜨거운 열기를 내뿜자 삼성물산, 현대건설, GS건설, 롯데건설 등 대형건설사들의 분양 예정 단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삼성물산은 서초구 서초동 우성1차 아파트를 헐고 총 1317가구(일반 232가구)를 짓는 래미안 리더스원, 강남구 삼성동 상아2차 아파트를 헐고 679가구(일반 115가구) 규모의 래미안 아파트를 분양한다. 각각 강남역, 청담역 등 역세권이며 우수한 학군을 갖췄다.
현대건설은 서초구 반포동 삼호가든3차 아파트를 헐고 835가구(일반 219가구), 강남구 일원동 일원대우아파트를 헐고 185가구(63가구)를 짓는다.
GS건설은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4단지를 헐고 3320가구(일반 239가구), 서초구 방배동 방배경남아파트를 헐고 759가구(일반 269가구), 서초구 서초동 무지개아파트를 헐고 1481가구(일반 215가구)를 조성한다.
이외에 롯데건설은 송파구 거여마천뉴타운 2-1구역을 재개발해 총 1945가구(일반 748가구)를, 계룡건설은 위례신도시 A1-6블록에 494가구를 연내 공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