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수정 기자] 전 정권의 창조경제 대표모델로 꼽혔던 벤처기업 '아이카이스트'에 대해 KEB하나은행이 대출하고 신용보증기금이 보증을 한 과정에 특혜가 있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30일 하나은행과 신보로부터 제출받은 '아이카이스트 여신승인 심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하나은행과 신보는 지난 2015년 아이카이스트가 특수관계인인 관계사에 1.7배 가깝게 보유 법인 값을 부풀려 팔아 부채비율을 정상화시켰다는 정황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대출 및 보증을 승인했다.
김 의원이 제시한 하나은행과 신보의 대출 및 보증 심사 자료에 따르면 아이카이스트는 이 같은 편법으로 부채비율을 2012년 647%에서 2014년 80.59%까지 줄였다. 하나은행과 신보는 이를 근거로 재무안정성이 양호한 수준이라 판단했다.
하나은행은 2015년 7월14일부터 11월25일까지 약 4개월 동안 아이카이스트에 4차례에 걸쳐 약 20억원을 대출했고 신보는 같은해 10월20일 10억원 가량 보증 승인했다.
그 뒤 올해 1월 아이카이스트의 부실 발생으로 하나은행은 8억5000만원의 미회수금이 발생했다. 하나은행은 이를 대손상각 처리했고 신보는 하나은행에 보증했던 10억원을 대위변제했다.
김 의원은 "특혜가 있었는지, 있었다면 배후에 누가 있었는지에 대해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