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수정 기자] 최근 1년간 은행권 전세대출이 2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6월말 기준 은행권 전세대출 잔액은 44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6월 대비 7조1000억원(18.8%) 불어난 수치로 가계대출 증가율(11.1%)을 웃돌았다.
상반기에만 전세대출 잔액은 3조8000억원 늘어 작년 상반기(2조6000억원)보다 46% 급증했다. 신규대출 규모는 전년 같은 기간(8조3900억원)보다 26% 증가한 10조5500억원을 기록했다.
연령별로는 30대의 대출 잔액이 21조4000억원으로 47.8%를 점유했다. 40대가 29%로 뒤를 이었다. 50대와 20대의 비중은 각각 11.2%, 8.6%였다. 3~40대의 대출잔액은 전체의 76.8%로 단연 많았다.
전월세난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행이 6월 기준금리를 인하한 것을 감안하면 하반기에도 전세대출 증가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KB부동산통계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격은 7월말 기준 2억3063만원으로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3년7개월 동안 48.5%(7536만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서울은 1억4000만원 이상 증가해 4억원을 넘어섰다.
은행권 전세대출 잔액도 2012년 말 23조4000억원에서 올해 6월말 44조8000억원으로 두배 가까이(91.4%, 21조4000억원) 급증했다
반면 가계 소득은 제자리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보면 도시 가구(2인 이상)의 평균 가처분소득은 지난 4년 동안 325만8785원에서 354만5812원으로 28만7000원(8.8%) 늘어나는데 그쳤다. 연평균 2%씩 증가한 셈이다.
제윤경 의원은 "소득은 게걸음인데 전세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으니 전세대출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빚내서 집사라'는 잘못된 부동산정책이 결국 중산층과 서민의 전세대출 급증과 주거불안으로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제 의원은 "매매시장 위주의 부동산가격 부양이 아니라 전월세 대책 등 주거안정을 목표로 부동산정책을 전환해야 한다"며 "가계부채도 결국 부동산정책과 연계한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