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3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FIFA 비리 간부 14명 기소...거액 착복에 약소국 축구인들 가장 분개

URL복사

[시사뉴스 김기철 기자] 국제축구연맹(FIFA)의 부패와 거액 뇌물 착복 등 스캔들로 구속되거나 수사를 받고 있는 간부들은 엄청난 거액이 개인계좌에 송금되는 등 비리가 확연하게 드러나고 있지만 그로 인한 피해자들은 눈에 띄지 않게 마련이다.

그러나 아시아, 아프리카를 비롯한 약소국들의 축구인들과 변변한 장비조차 없어 선배들이 쓰던 물건을 물려받아 쓰고 있는 유소년 축구 선수들, 여비가 없어 월드컵 출전 준비조차 꿈도 못꾸는 군소 프로팀의 선수들은 자신들이 가장 큰 피해자라고 여기고 있다.

뉴욕의 현역 검사인 켈리 커리는 FIFA의 최고위 간부 14명이 기소되는 상황에 대해 "이 사람들이 부정하게 그처럼 큰 돈을 착복할 수 있었던 것은 세계 각지의 수많은 사람들의 축구 사랑을 이용한 것"이라면서 이들이 축구 시장의 각종 권리와 인허가를 이용해서 축구팬들을 착취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브라질축구연맹의 전임 회장이 지난주 체포된 브라질의 경우 무려 3500만 달러를 들여 지은 협회 건물이 부와 권력의 상징처럼 우뚝 솟아 있지만 브라질의 하위 그룹 프로축구팀의 수비수로 뛰고 있는 파이오 브라스(36) 선수는 빚더미에 올라앉아 기본 생계비조차 제대로 못받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FIFA 산하 브라질 축구협회 간부들은 수십년 동안 TV 중계권과 광고 협약 등을 팔면서 개인적으로 뇌물을 받아 수백만 달러를 챙겼다.

브라스 선수는 "결국 우리 선수들이 죽도록 힘들게 뛰면서도 가족들의 생계가 위태롭고 생존을 위해 끝없이 허덕이고 있는 원인은 그들이 우리가 받을 돈을 다 훔쳐갔기 때문"이라며 분개했다.

인도의 델리축구협회 나린다 바티아 부회장은 축구연맹으로부터 풀뿌리 축구나 지역 축구협회에 지급되는 돈은 거의 없다고 말하고 "대회를 운영할 비용조차 없다. 대회기간 중 선수들에게 지급되는 음식도 차 한 잔에 과자 정도여서 너무 부족하다"며 FIFA 운영진의 스캔들에 분노를 표했다.

2010년 월드컵 경기 유치를 위해 거액의 뇌물을 지불한 것이 드러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수백만 명의 국민들이 격분해서 항의 소동을 벌였다. 기소된 간부들의 부패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은 "유소년 축구대회와 축구 발전 프로그램들"이라고 검찰이 발표했기 때문이다.

FIFA는 지난 3년 동안 무려 10억 달러를 축구발전기금으로 사용했다고 밝혔지만 그 중 선수들이나 축구단에 지급된 금액은 거의 없었고, 얼마가 간부들의 개인 계좌로 흘러갔는지도 아직 분명치 않다.

스위스 취리히대학의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전문교수인 크리스토퍼 개프니는 이번 스캔들의 피해는 축구계에 그치지 않고 아시아에서 축구화를 손으로 꿰매고 기아 임금을 받고 있는 수많은 저임금 노동자들이 받을 돈이 회사에 의해 뇌물로 FIFA에 바쳐지는 등 제조업, 광고업 등 다양한 사업체, 수많은 사람들의 삶과 연결되어 있다고 말한다.

2022년 월드컵 주최를 따낸 뒤 거대한 축구장을 건설하고 있는 카타르에서 건설 노동자로 일하던 네팔 인부들이 사고로 집단 사망한 것은 대표적인 예이다.

개프니 교수는 "양복입은 고위층들이 저지르는 거액 비리와 범죄는 양복 한 벌 없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가장 큰 타격을 입힌다"며 FIFA 스캔들과 관련된 축구 행정가들의 비리를 개탄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단독] “물 좀 가져오라며 고성”…천안시의회 A의원, 상습 갑질 의혹 폭로 잇따라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천안시의회 A의원(더불어민주당)이 수년간 공무원들을 상대로 고성과 모욕을 반복적으로 일삼았다는 내부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 여기에 더해 인사 개입과 조직 내 위압, 정서적 폭력에 이르기까지 '직위 기반 갑질'이 만연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반복된 폭언·공개 모욕…공무원들 "트라우마 호소" 복수의 천안시 및 의회사무국 관계자들에 따르면, A의원은 평소 회의나 공식 일정 중 다수가 지켜보는 자리에서 공무원들에게 “어디서 감히”, “말대답하냐”, “반성하라” 등의 강압적이고 모욕적인 언행을 일삼아 왔다고 전한다. 문제는 구체적 지적 없이 감정적 고성과 조롱 섞인 발언이 반복됐다는 점이다. 한 간부공무원은 “직위고하를 막론하고 공개 석상에서 망신을 주는 식의 발언은 단순한 꾸짖음을 넘어 인격 침해”라며,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조직 전체의 사기를 무너뜨린다”고 말했다. 일부 피해 직원들은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불면증, 가슴 두근거림, 두통, 위장장애 등 신체화 증상까지 겪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더해 A의원의 과도한 지시는 때로는 공적 업무 범위를 벗어난 사적 요구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차를 가져오라”는 식의 명령은 물론

문화

더보기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광복 80주년 기념 정책포럼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연구원(원장 오균)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8월 14일(목) 오후 2시부터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에서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주제로 ‘제4회 서울연구원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의 공간 변화를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흐름을 되짚고, 향후 100년을 향한 서울의 미래 비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정책포럼은 △신민철 서울연구원 연구기획조정실장이 사회를 맡고,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의 ‘광복 이후 서울의 공간적 변화와 역사적 의의’ 주제발표 △김인희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미래 변화와 준비’ 주제발표 △종합토론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 시민들의 도시의 탄생’이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의 탄생과 성장 과정과 시민들의 삶이 각종 개발 사업에 의해 어떻게 바뀌었는지에 주목해서 설명한다. 특히 현대 서울의 정체성을 권력 있고 힘 있는 사람들이 주인공이던 왕조 시대의 수도에서 찾을 것인지, 아니면 모든 시민이 주인공인 민주공화정의 수도에서 찾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