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유승준 "마음을 다해 사죄했는데 '거짓말쟁이'가 되는 현실이 안타까워"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병역 기피 의혹으로 입국 금지를 당한 가수 겸 영화배우 유승준(39)이 거듭 사죄에 나섰다.

한국을 떠난 지 13년 만인 지난 19일 인터넷방송을 통해 무릎을 꿇고 사과했던 유승준은 27일 오전 또 다시 인터넷방송인 아프리카TV의 신현원 프로덕션 채널을 통해 심경을 밝혔다.

중국 베이징에 머물고 있는 유승준은 이날 50여 분 동안 진행한 방송에서 자신이 거짓말쟁이로 몰리는 것에 대해 억울함을 누차 호소했다. "13년 만에 국민 앞에서 마음을 다해 사죄했는데 '거짓말쟁이'가 되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눈물을 쏟았다.

첫 생방송 이후 불거진 의혹에 대한 해명의 자리였다. 앞서 유승준은 지난해 입대를 타진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법무부와 병무청은 이를 부인하면서 논란이 됐다.

유승준은 이에 대해 "2014년 7월께 지인을 통해 한국 군에 입대할 수 있는 지를 묻고, 육군 소장과도 통화했다"면서 "지난해 입대를 하려고 했던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미국 시민권을 포기하고 다시 한국 땅을 밟고 싶어하는 이유가 '해외금융계좌 신고법'으로 인한 세금 폭탄 때문이냐는 의혹에 대해서 "논할 가치가 없다"고 일축했다.

 "중국과 미국에서 세금을 성실히 납부해왔고 그 부분에 대해서는 부담스럽게 생각하고 있지 않다"면서 "그런 얘기가 나온다는 자체가 마음이 아프다"고 억울해했다.

청룽(성룡)이 이끄는 기획사 JC그룹 인터내셔널과 전속계약이 만료돼 입국한다는 설에 대해서는 "2년 전에 계약 기간이 만료됐다. 그 이후로 청룽 형님 회사의 지원을 받으며 중국활동을 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와 함께 자신은 한국인의 피가 흐르는 한국 혈통이라면서 "아이들에게도 그렇게 가르치고 있다. 아이들과 한국땅을 밟고 싶다는 것 말고는 아무 이유가 없다"고 거듭 주장했다.

유승준은 앞서 '유승준13년만의 최초 고백, 라이브'를 통해 미국 시민권을 포기하고 군 복무를 해서라도 한국 땅을 밟고 싶다며 사과했다.

하지만 유승준의 국내 컴백은 아직 요원해보인다. 아직까지는 괘씸죄를 적용, 용서하면 안 된다는 의견이 많다. 거듭된 해명에도 아직 의심이 가시지 않았다는 것이 네티즌들의 지적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