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

KBS '국민대합창 나는 대한민국'…조영남부터 엑소까지

URL복사

[시사뉴스 김한나 기자] 조영남, 인순이, 이승철, 유희열, DJ DOC, 백지영, 바다, 김태우, 김범수, MFBTY(윤미래·타이거JK·비지), 다비치, 씨스타, 에일리, 문명진, 장미여관(육중완·강준우), 알리, 엑소(찬열·첸·백현), 인피니트(성규·엘), 걸스데이, 틴탑(니엘), 에이핑크(정은지), B1A4(산들), EXID(하니). 국민가수부터 '대세' 아이돌까지 40여 명의 가수들이 모였다.

15일 찾은 KBS '국민대합창-나는 대한민국'의 주제곡 '우리 만나는 날' 뮤직비디오 촬영현장은 뜨거웠다. 스타의 동작과 표정 하나 하나까지 담으려는 수많은 카메라와 현장을 돕는 스태프들로 이날 KBS 별관 공개홀 무대는 인산인해를 이뤘다.

이승철의 지휘와 유희열의 반주에 맞춰 시작한 '우리 만나는 날'은 각 세대를 대표하는 여성 보컬리스트 인순이, 백지영, 에일리가 이끌었다. 이에 뒤지지 않는 실력을 가진 다른 가수들이 한 겹 한 겹 화음을 쌓았고 찬열과 보라, MFBTY가 랩을 더해 노래를 완성했다.

마지막 후렴구에서는 출연자 전부가 입을 맞춰 '우리 그대 아~ 우리/만나는 날 품에 안겨/두 번 다시 돌아서지 않길 약속해/너와 내가 이렇게 하나임을 느낀 채/오늘 영원토록 기억해 기억해'라며 '우리 만나는 날'을 기약했다. 완성된 음원은 홈페이지(http://815.kbs.co.kr)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KBS '국민대합창-나는 대한민국'은 올해로 70주년을 맞는 광복절을 기념해 열리는 축제다. 모든 국민들이 하나 돼 즐겨보자는 의미를 담았다. 15일 홈페이지 오픈을 시작으로 광복절인 8월15일까지 한 달 간 공식 유투브와 SNS, KBS 1TV 프로그램 '우리가'를 통해 진행상황이 중계된다.

그 대장정의 마지막은 광복절 서울 월드컵 공연장에 모인 국민의 합창이다. 주제곡 '우리 만나는 날'을 비롯해 한 시간여 동안 지휘자의 지휘와 합창단의 선창에 맞춰 노래를 부른다. 출연 가수들의 공연도 준비돼 있다.

KBS는 홈페이지를 통해 합창에 참여할 국민을 모집한다. 광복 70주년을 기념해 7만 명을 모은다. KBS 김충 CP는 "지금까지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었던 광복절 행사 말고 전 국민이 함께 할 수 있는 행사를 만들고 싶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