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세계 88위' 정현, "다음 목표는 이형택 원장님의 36위 기록 깨는 것"

URL복사

[시사뉴스 박철호 기자] 남자프로테니스(ATP) 랭킹 100위의 벽을 넘은 정현(19·삼일공고·세계랭킹 88위)이 더 큰 포부를 밝혔다.

정현은 28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자리에서 취재진과 만나 "다음 목표는 이형택 원장님이 갖고 있는 세계랭킹 36위 기록을 깨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테니스의 희망'으로 불리는 정현은 지난 27일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에서 열린 ATP 서배너 챌린저 단식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세계랭킹 88위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 남자 선수가 세계랭킹 100위 안에 든 것은 이형택(39) 이후 두 번째다.

이형택은 2000년 11월 세계랭킹 99위를 차지하며 국내 남자 선수 최초로 100위권에 들었다. 이후 2007년 8월 36위까지 올랐다가 2008년 8월 101위가 되며 10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정현은 "88위를 한 것도 기쁘고 챌린저 대회에서 세 번째 우승을 한 것도 기쁘다"며 "사실 아직 실감이 나지 않는다. 나도 순위가 이렇게 빨리 오를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 세계 100위권이 사정권에 들어온 뒤에는 오히려 더 악착같이 경기에 임했다"고 소감을 전했다.

그는 이어 "이제는 본격적으로 투어 대회에 참가하게 된다. 이형택 원장님은 한국 테니스의 전설이고 세계랭킹 36위까지 올라간 기록도 가지고 있는데 내가 그 기록을 깨고 더 큰 목표를 잡아야 한다고 본다"며 "가능하면 올해 열리는 메이저대회 본선에서 승리를 거두고 싶다"고 덧붙였다.

시즌 초부터 호주와 미국 등에서 펼쳐진 챌린저 대회에 꾸준히 참가한 정현은 수많은 경기를 소화하며 경험을 쌓았다. 그 과정에서 챌린저 대회 우승 횟수를 3회로 늘렸고 토마스 베르디흐(30·체코·세계랭킹 7위)와 같은 세계 정상급 선수들과도 실력을 겨뤘다.

정현은 "챌린저 대회에 계속 나가다보니 자연스레 경험이 쌓였다. 이기고 지는 과정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고 노력도 많이 했다"며 "덕분에 세계 무대에서도 성적을 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됐다. 비록 지기는 했지만 톱10에 드는 선수들과도 경기를 했고 잔디나 클레이코트에서도 경쟁력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상당히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고 설명했다.

세계랭킹 100위 안에 들면 일반 투어 대회 본선에 자력으로 나갈 수 있다. 또 메이저 대회 단식 본선 자동 출전권도 얻게 된다.

정현은 "2년 전 윔블던 주니어 대회에서 준우승을 했는데 이번에는 시니어 대회에서도 성적을 내보고 싶다"며 "윔블던뿐만 아니라 모든 메이저대회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급성장하고 있는 정현은 세계랭킹 1위 노박 조코비치(28·세르비아)를 롤모델로 삼고 있다.

그는 "조코비치는 정신력이 가장 뛰어난 선수이고 경기에서 보여주는 퍼포먼스도 화려하다. 그의 경기는 언제나 인상적이다"며 "나도 그와 같은 선수가 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웨이트와 밸런스 연습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고쳐나가고 있다. 이제는 서브도 200㎞ 가까이 된다"고 말했다.

정현은 한국을 넘어 세계가 주목하는 유망주다. ATP는 지난 1월 정현을 올해 주목할 유망주 5인에 선정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정현은 "언젠가는 내게 쏠리는 관심과 기대에 대한 부담감을 꼭 한 번 이겨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기왕이면 그 부담담을 일찍 이겨내 보고 싶다"고 다부진 모습을 보였다.

정현은 다음달 2일부터 부산에서 펼쳐지는 ATP 부산오픈 챌린저에 출전한다. 이어 윔블던대회가 시작되는 6월 말까지 투어대회와 프랑스오픈 예선 등을 소화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단독] “물 좀 가져오라며 고성”…천안시의회 A의원, 상습 갑질 의혹 폭로 잇따라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천안시의회 A의원(더불어민주당)이 수년간 공무원들을 상대로 고성과 모욕을 반복적으로 일삼았다는 내부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 여기에 더해 인사 개입과 조직 내 위압, 정서적 폭력에 이르기까지 '직위 기반 갑질'이 만연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반복된 폭언·공개 모욕…공무원들 "트라우마 호소" 복수의 천안시 및 의회사무국 관계자들에 따르면, A의원은 평소 회의나 공식 일정 중 다수가 지켜보는 자리에서 공무원들에게 “어디서 감히”, “말대답하냐”, “반성하라” 등의 강압적이고 모욕적인 언행을 일삼아 왔다고 전한다. 문제는 구체적 지적 없이 감정적 고성과 조롱 섞인 발언이 반복됐다는 점이다. 한 간부공무원은 “직위고하를 막론하고 공개 석상에서 망신을 주는 식의 발언은 단순한 꾸짖음을 넘어 인격 침해”라며,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조직 전체의 사기를 무너뜨린다”고 말했다. 일부 피해 직원들은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불면증, 가슴 두근거림, 두통, 위장장애 등 신체화 증상까지 겪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더해 A의원의 과도한 지시는 때로는 공적 업무 범위를 벗어난 사적 요구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차를 가져오라”는 식의 명령은 물론

문화

더보기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광복 80주년 기념 정책포럼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연구원(원장 오균)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8월 14일(목) 오후 2시부터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에서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주제로 ‘제4회 서울연구원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의 공간 변화를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흐름을 되짚고, 향후 100년을 향한 서울의 미래 비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정책포럼은 △신민철 서울연구원 연구기획조정실장이 사회를 맡고,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의 ‘광복 이후 서울의 공간적 변화와 역사적 의의’ 주제발표 △김인희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미래 변화와 준비’ 주제발표 △종합토론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 시민들의 도시의 탄생’이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의 탄생과 성장 과정과 시민들의 삶이 각종 개발 사업에 의해 어떻게 바뀌었는지에 주목해서 설명한다. 특히 현대 서울의 정체성을 권력 있고 힘 있는 사람들이 주인공이던 왕조 시대의 수도에서 찾을 것인지, 아니면 모든 시민이 주인공인 민주공화정의 수도에서 찾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