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에이수스 두께 1.2cm "맥북에어 보다 얇다"

URL복사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에이수스는 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2015 노트북 신제품 기자 간담회'를 개최하고 인텔 CPU 기반의 노트북 신제품을 소개했다.

이날 공개된 에이수스 트랜스포머 북 Chi 시리즈는 태블릿과 노트북으로 활용 가능한 초슬림 투인원(2-in-1) 제품으로 FHD 디스플레이와 인텔 코어 M 프로세스를 탑재했다. 또 최대 8시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전력 효용성을 보여준다.

디자인은 냉각 팬이 없는 팬리스를 채택했다. 또 SSD를 갖춰 기존 하드디스크 대비 최대 9배 빠른 읽기 및 쓰기 속도를 제공한다. USB 3.0를 지원해 USB 2.0 보다 최고 10배 빠른 데이터를 전송 가능하다.

에이수스 트랜스포머 북 Chi 시리즈는 3가지 사이즈로 제공된다. 플래그십 모델 T300 Chi는 12.5형 화면에 7.6㎜ 얇은 제품이다. 10.1형 화면의 콤팩트한 T100 Chi는 7.2㎜의 얇은 태블릿으로 맥북에어보다 0.5㎜ 얇다. 또 하루 동안 사용 가능한 배터리 수명을 제공한다. 8.9형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T90 Chi는 750g의 초경량 제품이다.

알루미늄 유니바디 구조의 젠북 UX305은 두께 12.3㎜의 13.3형 QHD+ 랩탑이다. 옵시디안 스톤 색상과 세라믹 알로이 2가지 색상으로 먼저 출시된다.

젠북UX305는 최대 8GB램과 초고속 256GB SSD를 지원하며 1.2㎏로 무게가 가볍다. 최대 QHD+ 3200×1800 픽셀을 지원하는 IPS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울트라포터블 노트북에 적합한 화면을 제공한다. 이 디스플레이는 표준 HD 디스플레이 해상도보다 5배 높으며 276PPI(인치당 픽셀 수)를 지원한다.

젠북 UX305 역시 USB 3.0 포트를 갖췄으며 모바일 장치의 신속한 충전을 위한 에이수스 차지 플러스 기능을 지원한다. 외부 모니터와 쉽게 연결이 가능한 미니 디스플레이 포트 및 VGA 어댑터를 포함한 USB-이더넷 포트 등을 통해 확장성을 높였다.

곽문영 에이수스 마케팅팀 팀장은 "이번에 소개된 제품들은 시장에 출시된 그 어떤 제품보다 이동성과 생산성이 뛰어난 제품으로 비즈니스, 학업 등 어떠한 용도로든 활용 가능하다"며 "인텔과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이를 강화해 더 많은 고객을 만족시키고 노트북 시장의 세대교체 바람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