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제

버핏과의 점심 65만달러

URL복사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76)과 점심을 함께 할 수 있는 '버핏과의 점심' 경매가 역대 최고가인 65만100달러에 낙찰됐다.
30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지난 29일 미국 경매사이트 이베이에서 마감된 버핏과의 점심 경매에서 캘리포니아의 파브라이 인베스트먼트 펀드의 공동운영자인 모니쉬 파브라이와 아쿠아마린 LLC 헤지펀드 운영자인 가이 스파이어가 공동으로 이 같은 가격에 응찰해 버핏과 점심을 같이 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됐다.
이 가격은 지난해 버핏과의 점심 경매 낙찰가인 62만100달러를 넘는 기록이다.
낙찰자는 최고 6명까지 지인을 동반해 뉴욕 맨해튼의 유명한 스테이크 전문 레스토랑 '스미스 앤드 볼렌스키'에서 버핏과 오찬을함께 하게 된다.
오찬에 부인과 2명의 자녀를 동반할 계획인 파브라이는 버핏으로부터 투자와 인생에 관해 너무 많은 것을 배웠기 때문에 그와의 점심에 이만한 돈을 쓰는 것에 개의치 않는다고 말했다. 파브라이와 스파이어는 작년에도 함께 50만달러가 넘는 금액으로 버핏과의 점심 경매에 응찰했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었다.
투자회사 버크셔 해서웨이의 이사회 의장이자 최고경영자(CEO)인 버핏은 1년에 단 한 차례 실시하는 자신과의 오찬을 지난 2000년부터 경매에 올려 왔으며 수익금은 그의 아내 수전이 생전에 봉사활동을 했던 샌프란시스코의 빈곤퇴치 자선단체인 글라이드 재단에 전달될 예정이다.
`오마하의 현인'으로도 불리는 버핏은 현재 490억달러 가량으로 평가되는 자신의 버크셔 해서웨이 주식의 85%를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 회장과 부인 멜린다가 운영하는 `빌 앤드 멜린다 게이츠 재단'에 기부하겠다고 작년에 밝혔으며 궁극적으로는 자신의 지분을 모두 기부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양곡관리법·농안법, 국회 본회의 통과...농안법도 국회 본회의서 가결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석열 前대통령 1호 거부권'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과잉 생산된 쌀을 매입하는 내용의 '양곡관리법' 개정안과 농수산물 시장 가격이 기준 가격 미만으로 하락할 경우 차액을 지원하는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농안법)' 개정안이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를 열고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찬성 199표, 반대 15표, 기권 22표로 가결했다. 쌀값이 급락한 경우 초과 생산량을 의무적으로 매입하도록 규정한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추진됐다가 윤석열 정부 당시 거부권이 처음 행사돼 폐기된 바 있다. 민주당이 재추진한 이번 개정안의 수정안에서 여야는 사전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통한 수급 조절, 당해년도 생산 쌀에 대한 선제적 수급조절 및 수요공급 일치, 쌀 초과 생산 및 가격 폭락 시 수급조절위원회가 매입 관련 심사 등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수산물 시장가격이 기준 가격 미만으로 하락할 경우 차액을 지원하는 내용의 농안법도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표결 결과 찬성 205표, 반대 13표, 기권 19표가 나왔다. 농안법 개정안은 국내 수요보다 농수산물이 초과 생산되지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