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3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

‘구원의 아이콘’ 아이유를 잡아라

URL복사

[시사뉴스 김한나 기자] “아이유 씨 덕분에 1위를 해서 업고 다니고 싶어요. 그 보이스 컬러는 보물이 아닌가 해요. 그 기적이 ‘소격동’으로 이어졌죠.”(서태지의 지난 20일 기자회견 발언 중)

가수 아이유(21,사진)가 듀엣의 아이콘을 넘어 가요계에 ‘구원의 아이콘’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듀엣을 하지 않아도 그녀와 협업만 하면 단숨에 주목을 받고 음원차트 1위에 오른다.

5년만에 컴백한 가수 서태지(42)가 최근 아이유의 수혜자다. 서태지가 9집 ‘콰이어트 나이트’ 수록곡으로 가장 먼저 공개한 ‘소격동’은 몽환적인 장르에 가까운 신스팝이다. 서태지 버전에서 느껴진 그의 전매특허 ‘아련한 사운드’는 팬이라면 ‘혹’할 만했다. 음악 자체는 한국에서 주류가 아니다. 하지만 아이유의 ‘소격동’은 단숨에 차트 정상에 올랐다. 그녀의 목소리에 착 달라붙는 사운드는 아니었지만, 신비로웠다. 서태지 팬의 자녀들은 아이유 팬이라는 이유로 지난 18일 잠실종합운동장 올림픽주경기장에서 열린 서태짐 컴백공연에도 찾아왔다.

앞서 올해 상반기 아이유의 ‘특혜’를 입은 팀으로는 4인 남성 그룹 ‘하이포’가 있었다. 아이유는 음악 프로듀서 최갑원과 함께 이 팀의 데뷔곡 ‘봄, 사랑, 벚꽃 말고’를 공동 프로듀싱했다. 그뿐만 아니라 이 곡의 작사를 맡고 피처링까지 했다. 덕분에 이 곡은 신인가수의 곡임에도 음원차트 1위에 올랐다. 최 프로듀서가 키우는 그룹이다. 그는 2007년 아이유를 발굴했다. 아이유는 최 프로듀서와 ‘의리’로 작업에 기꺼이 힘을 보탰다.

SBS TV 오디션 프로그램 ‘일요일이 좋다-K팝 스타’ 시즌 1의 윤현상(20)은 아이유의 다음 수혜자다. 그가 이달 31일 발표하는 데뷔 미니 앨범 ‘피아노포르테’에 아이유가 듀엣으로 참여한다. 앞서 아이유는 지난 9월 데뷔 6주년 기념 팬미팅과 ‘멜로디 포레스트 캠프’ 콘서트에서 윤현상의 데뷔 소식과 함께 타이틀곡 후보 중 한 곡을 미리 선보였다. 아이유 측은 “아이유가 윤현상의 데뷔 앨범을 듣고 큰 관심을 보였다. 함께 작업하고 싶다는 의지를 밝혔다”면서 “윤현상의 솔로곡을 아이유와 듀엣곡으로 재편곡해 수록했다. 뮤직비디오와 음악방송 활동도 함께할 예정”이라고 귀띔했다. 두 사람은 같은 매니지먼트사(로엔트리)에 속해 있다.

아이유는 그간 수많은 가수와 호흡을 맞췄다. 성시경을 비롯해 보컬스룹 ‘2AM’ 멤버 임슬옹, 나윤권, 그룹 ‘god’, 그룹 ‘울랄라세션’, 최백호, 양희은, 이적, 김광진 등과 듀엣을 했다.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코린 베일리 래와 합동 무대를 꾸미기도 했다. 장르와 나이, 국적을 넘나든다.

아이유의 목소리는 깨끗하다. 고음에서 특유의 쇳소리가 녹아들어 가지만, 어떤 장르의 곡이든 소화할 수 있다. 어떤 색깔의 가수와도 목소리가 조화를 이룬다. 컴퓨터 그래픽 합성으로 말미암은 결과물이었지만, CF에서 고 김광석과 듀엣이 가능했던 것도 그 때문이다.

최근 듀엣과 협업에서 아이유의 색깔이 더 강해졌다. 어떤 노래를 불러도 ‘아이유스러워진다’는 느낌이다. 아직 만 20세에 불과하지만, 나름의 해석력이 생기면서 확고한 ‘보컬리스트’로 자리매김했다. 내로라하는 선배 가수들이 그녀의 목소리를 칭찬하는 이유가 있다. 그녀와 작업은 그래서 시너지를 낸다. ‘국민 여동생’으로 통해 팬들의 관심도 대단하다. 5년 동안 대중과 멀어진 서태지, 데뷔하는 신인. 그들이 아이유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밀 수밖에 없다.

아이유가 지난 5월 발매한 리메이크 앨범 ‘꽃갈피’ 수록곡 ‘너의 의미’의 인기는 되짚어볼 만하다. 원곡은 1984년 사이키델릭 록그룹 ‘산울림’이 발표했다. 아이유는 산울림 멤버였던 김창완과 이 곡을 듀엣했다. 김창완은 내로라하는 보컬 실력을 자랑하는 건 아니지만, 담백함 등 목소리의 개성으로는 국내에서 손꼽힌다. 아이유는 그런 김창완과 노래를 함께 불러 아이유의 ‘너의 의미’를 만드는 데 성공한다. 마지막 김창완의 내레이션 ‘넌 도대체 나에게 누구냐’가 곡의 아우라를 완성하지만, 내내 이 곡을 이끌어가는 건 아이유다. 이 곡은 여전히 음원차트 상위권에 올라 있다. 광고 음악으로 삽입되기도 했다.

가요관계자는 “아이유는 아이돌과 싱어송라이터로서의 이미지를 동시에 지닌 몇 안 되는 가수”라면서 “점차 자신의 색깔을 찾으면서 부르는 곡마다 개성을 입히고 있다. 팬덤에, 어디에도 어울리는 깨끗한 목소리, 해석력으로 아이유를 찾는 가요계의 손길은 잦아들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단독] “물 좀 가져오라며 고성”…천안시의회 A의원, 상습 갑질 의혹 폭로 잇따라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천안시의회 A의원(더불어민주당)이 수년간 공무원들을 상대로 고성과 모욕을 반복적으로 일삼았다는 내부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 여기에 더해 인사 개입과 조직 내 위압, 정서적 폭력에 이르기까지 '직위 기반 갑질'이 만연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반복된 폭언·공개 모욕…공무원들 "트라우마 호소" 복수의 천안시 및 의회사무국 관계자들에 따르면, A의원은 평소 회의나 공식 일정 중 다수가 지켜보는 자리에서 공무원들에게 “어디서 감히”, “말대답하냐”, “반성하라” 등의 강압적이고 모욕적인 언행을 일삼아 왔다고 전한다. 문제는 구체적 지적 없이 감정적 고성과 조롱 섞인 발언이 반복됐다는 점이다. 한 간부공무원은 “직위고하를 막론하고 공개 석상에서 망신을 주는 식의 발언은 단순한 꾸짖음을 넘어 인격 침해”라며,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조직 전체의 사기를 무너뜨린다”고 말했다. 일부 피해 직원들은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불면증, 가슴 두근거림, 두통, 위장장애 등 신체화 증상까지 겪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더해 A의원의 과도한 지시는 때로는 공적 업무 범위를 벗어난 사적 요구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차를 가져오라”는 식의 명령은 물론

문화

더보기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광복 80주년 기념 정책포럼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연구원(원장 오균)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8월 14일(목) 오후 2시부터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에서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주제로 ‘제4회 서울연구원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의 공간 변화를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흐름을 되짚고, 향후 100년을 향한 서울의 미래 비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정책포럼은 △신민철 서울연구원 연구기획조정실장이 사회를 맡고,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의 ‘광복 이후 서울의 공간적 변화와 역사적 의의’ 주제발표 △김인희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미래 변화와 준비’ 주제발표 △종합토론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 시민들의 도시의 탄생’이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의 탄생과 성장 과정과 시민들의 삶이 각종 개발 사업에 의해 어떻게 바뀌었는지에 주목해서 설명한다. 특히 현대 서울의 정체성을 권력 있고 힘 있는 사람들이 주인공이던 왕조 시대의 수도에서 찾을 것인지, 아니면 모든 시민이 주인공인 민주공화정의 수도에서 찾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