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지방자치단체의 소비자 관련 인력, 예산 등이 매우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올해 지역소비자행정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국 16개 시·도의 소비자행정 예산은 총 27억700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시·도별로 계산하면 평균 1억7300만원에 불과한 수준이다.지난 2012년 예산(33억8000만원)보다도 16.9%(6억1000만원)나 감소한 것이다.
특히, 시·도 소비자행정 예산의 46.6%는 지역 소비자단체 지원금으로 쓰이는 상황이라 자체 사업 예산은 1억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또 현재 16개 시·도의 소비자 행정담당자는 임기제(16명)과 행정직(25명) 공무원을 합쳐 총 41명으로 평균 2.6명에 불과하다. 업무 특성을 감안하면 임기제 직원 1명이 지역의 소비자 업무를 모두 맡고 있는 격이다.
소비자원은 "지자체의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중앙 단위기관과의 정책적 연계를 강화하고, 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협력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며 "지역기관과 중앙부처가 참여하는 '(가칭)지역소비자보호 협의회' 구성을 각 시·도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