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정부가 경영 정상화 방안에 대한 노사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한 공공기관을 제제키로 결정하자 강원랜드 등 7개 공공기관들이 노사합의를 마무리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이달 7일 한국수력원자력, 강원랜드, 코레일, 한국전력기술, 수출입은행, 인천국제공항, 부산대병원 등 7개 공공기관의 임원들을 불러 오는 10일까지 공공기관 정상화계획 관련한 노사 합의를 이끌어내도록 요청했다.
코레일과 한국전력기술은 방만경영개선에 대한 노사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고, 나머지 5개 공공기관은 검증과정에서 방만경영 우려가 있는 항목이 드러남에 따라 다시 합의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들 공공기관은 적극적으로 노사 협상을 진행하는 동시에 서둘러 정상화계획을 보완할 방침이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조석 사장을 중심으로 노조와의 접촉 빈도를 늘리고 있다. 한수원은 정상화 계획을 제때 제출했지만 검증과정에서 ▲질병 결근시 임금지급 ▲규정된 휴가외 회사가 인정하는 별도 휴가 문제 등 일부 조항을 개선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한수원 관계자는 "정부가 정한 기한을 맞추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중"이라고 말했다.
강원랜드는 검증과정에서 16개 항목을 추가로 지적받았다.
하지만 강원랜드는 4개는 이미 타결을 봤고 ▲여직원 생리휴가의 무급 전환 등 12개 항목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합의를 이룬 만큼 일괄 타결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국전력기술도 기한내 노사합의를 끌어낼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한전기술 관계자는 "정부가 제안한 22개 항목중 노사합의가 필요한 16개 항목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전력기술도 복리후생비 등은 직원들에게 민감한 사안이라 다소 지체되고 있을 뿐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마지막 조율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수출입은행은 심의과정서 ▲출산휴가 ▲근무시간 산정 ▲군경력 가산문제 등을 지적받았지만 노사간 합의를 이미 마친 상태다.
대신 기재부가 규정까지 바꿔야 인정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함에 따라 사규 개정 작업을 진행중이다.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노사간 대승적 합의는 끝났다"며 "마지막 소소한 실무 작업만 매듭지으면 된다"고 말했다.
반면 코레일은 통상임금 문제로 노사합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에 9월말 노조 집행부가 바뀌면서 신임 집행부가 10월말이나 결정돼 정상화계획에 차질이 우려된다.
코레일 관계자는 "속단은 못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