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현대자동차 노사가 올해 임금단체협상과 관련해 추석 전 잠정합의안 마련을 위해 마라톤 협상을 벌였지만 결국 실패했다.
현대차 노사는 2일 전날에 이어 제19차 교섭을 속개했으나 통상임금 확대 적용, 해고자 복직 문제 등 핵심쟁점에서 이견차를 좁히지 못했다고 밝혔다.
노사는 이날 오전 11시부터 오후 11시까지 12시간 동안 정회와 휴회를 반복하며 협상을 이어갔지만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했고, 노조는 곧바로 교섭 잠정중단을 선언했다.
이날 사측은 올해 임협의 가장 큰 쟁점인 통상임금 확대 적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금체계개선위원회'를 구성해 내년 단체교섭 때까지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자는 안을 냈으나 노조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또 노조의 해고자 2명에 대한 복직 요구에 대해 사측은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교섭이 결렬이 아니라 중단된 상태기 때문에 추가 파업 규모와 일정 등을 결정하는 쟁의대책위원회는 열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사측은 이날 교섭 중단의 원인이 노노갈등에 있다고 주장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잠정합의안 마련을 눈앞에 두고 노조 교섭위원들조차 인정할 정도로 격렬한 노노갈등 때문에 결론을 짓지 못한 데 대해 심한 허탈감과 유감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노사 교섭단이 3개월간 심혈을 기울여 협상을 마무리 지을 단계에 일부 제조직들이 잠정합의를 저지하기 위해 교섭장 앞에서 집단시위를 한 것은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교섭이 진행되는 동안 울산공장 본관 앞에는 일부 제조직 간부와 조합원들이 통상임금 확대와 해고자 복직 수용을 거듭 촉구하며 집회를 갖는 등 양측 교섭대표를 압박했다.
노사는 지난 6월3일 상견례 이후 3개월간 통상임금 확대 적용, 해고자 복직 문제 등을 놓고 마찰을 빚어왔다.
노조의 지난달 22일과 28일 두 차례에 걸친 부분파업과 주말특근·잔업거부로 2일까지 차량 1만6500여 대를 생산하지 못해 3600여억원 규모의 매출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사측은 집계했다.
노조는 내부적으로 교섭요건이 다시 갖춰지는 대로 사측에 교섭재개를 요청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