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최근 2년 사이 주류 내 이물질 혼입신고 건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류 생산시설이 위생관리 사각지대에 방치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10일 새정치민주연합 이목희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출받은 '연도별 주류 이물질 혼입신고 현황'에 따르면 주류 이물질 혼입신고 건수는 지난 2012년 152건, 2013년 235건에 달했다. 올해들어는 지난 7월까지 225건으로, 이같은 추세를 감안하면 올 연말까지 신고건수는 2년전에 비해 2배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이유는 정부의 주류 생산시설 위생상태 점검이 전혀 실효성이 없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의원에 따르면 실제 부산 '생탁' 막걸리의 경우 지난해 위생상태 점검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부산지역일반노동조합의 진정에 따른 재조사에서는 심각한 위생관리상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난 것으로 밝혀졌다.
해당 업체는 정부 조사에서는 점검업체 총 624개소 중 문제가 지적된 '중점' 관리로 분류된 165개소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재조사에서는 ▲보존 및 유통기준 위반 (영업정지 7일) ▲천연암반수 사용을 광고하며 수돗물 사용 (시정명령) ▲당일 제조한 제품의 제조일을 익일로 표시 (품목류 제조정지 10일 및 해당제품 폐기) ▲위생불량 (과태료 50만원) 등의 조치를 받았다고 이 의원은 말했다.
이목희 의원은 "위생관리 상태를 알고서는 먹지 못할 정도의 비위생적인 막걸리를 생산해서 유통하고 있었음에도 정부의 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것"이라며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직결되는 주류생산시설의 위생관리를 위해 제대로 된 실태조사와 지속적인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