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몇십 년 간 진정한 사과를 촉구했지만 역사 왜곡만 밥먹듯 하는 일본에 분개합니다.”
이옥선(87) 할머니와 강일출(86) 할머니의 표정은 결연했다. 4일 뉴저지 유니온시티 리버티 플라자. 미국에 건립되는 제9호 위안부기림비 제막식에 참석한 두 할머니는 70년 전의 일본군 만행을 어제 일처럼 생생히 증언하며 분노했다.
위안부기림비 건립에 적극 나선 유니온시티의 브라이언 스택 시장과 지역 정치인들, 한인사회 관계자들도 심각한 표정으로 경청하며, 고개를 끄덕이는 등 공감을 표하는 모습이었다.
리버티 플라자의 위안부기림비는 미주에선 통산 아홉 번째 상징물이지만 맨해튼 빌딩숲이 보이는 뉴욕의 관문이요, 두 개의 9·11 테러 추모비가 선 뉴저지의 성지 한가운데에 들어섰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위안부기림비는 바위의 매끄러운 앞면에 동판을 부착했고 위엔 피해 영령들의 자유로운 날개짓을 상징하는 나비 형상을 설치해 놓았다. 브라이언 스택 시장과 보드오브커미셔너, 시민들 명의로 새겨진 동판 문구는 ‘2차대전 전후 일본 제국주의 군대에 의해 성노예로 끌려간 한국과 중국, 대만, 필리핀, 네덜란드, 인도네시아의 수십만 여성들과 소녀들을 추모하며’라고 돼 있다.
뉴저지 상원의원이기도 한 브라이언 스택 시장은 “피해 여성들의 역사적 사실을 듣고 난 뒤 이 일을 추진하게 됐다”면서 “기림비는 20만 명이 넘는 여성들이 당한 고초에 대해 올바른 역사 교육이 후손들에게 이뤄지도록 하자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9·11 참사를 기리는 이 자리에 인권 회복을 바라는 위안부 기림비는 남다른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유니온시티의 위안부 기림비 건립에 공헌한 김자혜 허드슨문화재단 대표는 “지난해 워싱턴 행사에서 이옥선 할머니를 뵙고 위안부 피해자들이 2차 세계대전의 문제가 아니라 지금의 인권 문제임을 알게 됐다”며 “유니온시티의 많은 이들에게 피해자들의 고통을 알려주고 인권 문제를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김동석 시민참여센터 고문은 “유니온시티측에서 인권 문제를 잘 이해하고 9·11을 잊지 말자는 추모비 옆에 세워지는 것 자체가 매우 의미있다. 미국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정치인이 직접 나선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더욱이 유니온 시티는 일본의 영향력이 매우 큰 곳인데 이런 곳에 기림비가 세워졌으니 일본도 할 말이 없을 거라고 본다”고 말했다.
위안부기림비는 2010년 뉴저지 팰리세이즈팍에 1호가 세워진 이래 캘리포니아 가든그로브에 2호, 뉴욕주 낫소카운티 현충원에 3호, 뉴저지 버겐카운티 청사에 4호, 캘리포니아 글렌데일에 미주 최초의 위안부소녀상(5호)으로 이어졌다,
또 올들어 지난 1월 낫소카운티 현충원에 뉴욕주 상하원의 위안부결의안을 기념하는 기림비 두 개(6호)가 추가 건립됐고 5월엔 버지니아 페어팩스에 8호 위안부기림비가 세워져 이번 기림비는 건립지로는 7번째, 상징물로는 9번째이다.
약 200여명이 참석한 이날 행사장엔 일본 기자들이 20여명이나 몰려 한국 취재진을 압도할 정도였다. 일본 기자들은 버지니아 페어팩스 카운티의 위안부기림 상징물 제막식에도 20여명이 몰리는 등 최근 들어 눈에 띄게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이날 저녁엔 맨해튼 링컨센터에서 위안부 피해자를 소재로 한 연극 ‘위안’이 공연됐다. 전원 미국 배우들로 이뤄진 연극 ‘위안’은 지난달 5차례에 걸쳐 이달 맨해튼 미드타운 주얼 박스 시어터에서 공연됐다. 링컨센터 공연은 8일 마지막 공연이 올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