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한국이 차세대 전투기로 선정한 F35에 대한 안전성 논란이 미국에서 가열되는 가운데 뉴욕 타임스(NYT)가 사설을 통해 미국 정부는 F-35 구매를 축소하거나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NYT는 28일(현지시간) 'F-35의 애로'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미국 정부는 해당 전투기의 구매를 축소하거나 실전 테스트가 끝나는 2019년까지 구매를 중단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을 받아들여 뒤늦게라도 진지하게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신문은 미국이 F-35를 이달 말 영국에서 열리는 국제 에어쇼에 공개하면서 세계에서 가장 비싼 무기 프로젝트, 최첨단 전투기를 과시할 기회로 활용하려 했다면서 그러나 돌발 사고로 이런 야심찬 이벤트가 불발됐다고 전했다.
그동안 탈도 많고, 말도 많은 F-35의 가장 최근 사고는 지난달 23일 플로리다 에글린 공군기지에서 이륙하던 F-35A( F35는 공군이 사용할 A형과 해병대가 보유할 B형, 해군이 사용하는 C형으로 나뉨) 전투기 뒷부분에서 불이 나 조종사가 비행기를 포기한 사고다.
이후 미 국방부는 이번 사고의 원인을 F-35에 장착된 프랫 앤드 휘트니사의 엔진에 있다고 분석하면서 미군이 보유한 F-35 전투기 97대 모두의 엔진을 검사하고, 검사가 끝날 때까지 비행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방부와 그 계약사는 '임시적인 결함'이라고 주장했다.
NYT는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최첨단 무기를 만들겠다'는 취지로 14년 전에 시작된 F-35 개발은 끊임없이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면서 프로젝트 비용이 늘어나 F-35의 대당 가격이 2007년보다 42% 오르고 2019년까지 완전 생산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신문은 미 국방부가 지난 1월 F-35의 성능이 '미완성'이라고 평가했으며 미 연방회계감사원(GAO) 역시 보고서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지연을 지적한 적이 있다고 전했다.
이 가운데 일부 전문가는 미군이 비용 절감과 전투력 보장의 목적을 모두 이루기 위해서는 F-35 구매 수량을 줄이고, F-15, F-16 및 F-18 등 검증된 기종을 더 많이 구입해야 한다고 제안을 내놓았고, 또 일부 전문가는 F-35 실전 테스트가 끝나는 2019년까지 구매를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NYT는 덧붙였다.
신문은 이 시점에서 재평가는 이미 늦은 감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의 합리적인 아이디어는 돈이 많이 드는 이 무기 개발을 막거나 재검토에 도움이 되지 못했다고 역설했다.
한편 미국은 현재 97대의 F-35를 보유하고 있으며 2037년까지 2400대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밖에 2018년부터 40대 도입을 계획하는 한국을 포함해 이스라엘·캐나다·일본 등도 F-35를 구입하기로 했다.
하지만 대당 가격이 1억 달러(1000억원)이 넘는 전투기가 무용지물이 되면 한국의 방위력에 큰 타격이 될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