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상미 기자] 정부가 2016년까지 콘텐츠산업에 대한 민간투자를 1조6500억원까지 확대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제4차 콘텐츠산업 진흥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4년 콘텐츠산업진흥 시행계획'을 28일 심의·확정했다.
'콘텐츠산업진흥 시행계획'은 콘텐츠 산업의 지속적 성장과 체계적 육성을 위한 ▲투자·융자·기술 기반 조성 ▲인재 양성 ▲해외시장 진출 ▲콘텐츠 생태계 조성 ▲경쟁력 강화 및 협력 체계 구축 등 5대 전략과 17개 과제로 이뤄졌다.
시행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우선 콘텐츠 산업에 대한 민간투자 확대, 영세 콘텐츠 기업의 성장을 위한 창의적 콘텐츠 제작 지원(콘텐츠 펀드)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2000억원 규모의 '콘텐츠 펀드' 및 1000억원 규모의 '디지털콘텐츠코리아 펀드'를 추가 조성한다.
또 콘텐츠 펀드(모태펀드) 투자를 지난해 1조1221억원에서 2016년 1조6500억원으로 늘린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창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협업 공간, 창작 장비, 투자 연계, 전문가 지도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콘텐츠코리아 랩'을 조성한다.
콘텐츠 분야 1인 창조기업에 사무공간, 법무, 연결망(네트워킹) 등을 지원(1인 창조기업 지원)하고 3000여명의 청년 구직자에게 4~5개월간의 현장 경험 기회를 제공(창직인턴제)하는 등 창업·창직 지원을 내실화한다.
이를 위해 유망 직군을 개발하고 현장밀착형 콘텐츠 전문 인력 교육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콘텐츠의 해외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서는 사업 협력을 강화하고 현지 P&A 투자 전담 펀드를 조성한다.
콘텐츠 기업의 동반성장과 공정거래 생태계 조성을 위해 대기업중소기업 연합체를 구성해 대기업·중소기업 연계형 프로젝트를 발굴하는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통합 저작물 관리 체계를 구축해 전자저작권 과학수사 지원을 확대하고 급변하는 매체환경 변화에 대응한 저작권 보호 및 이용활성화 기술도 개발할 예정이다.
아울러 공공데이터 개방 계획에 따라 단계적으로 공공저작물의 개방률을 확대해 2017년까지 60%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콘텐츠 산업 분야별 맞춤형 지원도 강화된다. 방송영상 산업에서는 단막극·다큐멘터리 제작 지원 확대로 방송영상 콘텐츠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한편 독립제작사 우수 방송영상콘텐츠의 국내외 유통 기반을 확충하는 등 창작과 유통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영화 산업에서는 '온라인 영화서비스업'을 신설하는 등 오프라인 영화상영관 중심의 현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체계를 정비한다. 애니메이션·캐릭터 분야에서는 모태펀드 문화계정을 통해 애니메이션 펀드를 조성해 투자재원을 확대(150억원)할 방침이다.
한편 정부는 콘텐츠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관계부처 장관 등이 참여하는 '콘텐츠창의생태계 협의회'와 '금융투자 협의회' 등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 간 협업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