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개성공단에서 인원들이 철수하는 가운데 여야는 개성공단 문제에 대한 해법을 내놓았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30일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 “정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급선무이므로 부득이하게 인원을 철수했지만 남아있는 7명은 급수 또는 전기 공급 관리의 최소 인원으로 상징성이 있다”며 “급수 같은 경우에는 개성 주민들이 활용하고 있어 계속 유지돼야 하지 않을까 싶다”라면서 유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황 대표는 “어떤 긴박한 상황이 있더라도 개성공단은 지켜져야 한다는 것이 새누리당의 기본 입장”이라며 “경제적 측면은 말할 것도 없고 남북 화해와 협력의 상징이기 때문에 대가가 좀 있더라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성공단의 미래에 대해서는 “앞으로 대화를 통해 개성공단을 안전한 경제적 논리에 따를 수 있도록 국제경제구역으로 지정했으면 한다”며 “중국, 미국 등이 참여해 국제 지구로 만들면 안정성이 높아지고 지속가능한 곳이 될 것”이라고 향후 플랜에 대해 설명했다.
반면, 민주통합당 박기춘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개성공단 문제에 대해 논의할 영수회담을 갖자고 촉구했다.
박 원내대표는 “위기상황일수록 머리를 맞대고 논의해 해답을 찾아야 한다”면서 “미국 대통령과 논의하기 전에 야당과 함께 초당적으로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 다시 한 번 민주당이 제안한 영수회담을 수용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거듭 따져보아도 사태의 기본책임은 북한에 있지만 개성공단을 여기서 포기할 수는 없다”면서 “단전·단수 조치를 성급하게 거론해서는 안 된다. 단전·단수는 개성공단의 끝을 의미한다”고 언급, 개성공단 폐쇄는 절대 안된다고 주장했다.
박 원내대표는 “더 이상 강(强)대 강의 대결을 고조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인내심을 갖고 대화의 길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