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이경재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박정희 정부 시절 유신체제에 대해 10일 “영구집권을 위한 친위 쿠데타로 민주주의가 퇴보한 기간”이라고 평가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 인사청문회에서 이같이 평가했다.
다만 이 후보자는 “경제적 근대화나 민족적 자신감 회복 등 여러 분야에 끼친 공적을 과소평가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언론인 해직사태에 대해서는 “매우 안타깝다”면서도 “정부가 직접 개입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노사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원만히 해결되기를 희망한다”고 이야기했다.
종합편성채널(종편) 성과에 대해서는 “당초 설정한 목표가 달성됐는지 판단하기 이르다”면서 “작년말 기준 직접 고용창출이 2200명으로 기대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
KBS 수신료 인상 문제와 관련해서는 “공영방송의 재원 구조를 정상화 해 공영성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다만 국민 부담이 가중되는 측면이 있는 만큼 충분한 논의를 거쳐야 한다”는 입장을 지세했다.
이동통신사의 불법 보조금 문제에 대해 “이통사의 수익 규모를 고려해 부담을 느낄만한 정도로 과징금이 부과돼야 한다”면서 “일괄 처벌보다는 시장 과열을 주도한 사업자를 선별 제재하는 등 차별적 보조금 지급행위에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증여세 탈루 의혹에 대해서는 “작년말 장남이 결혼하면서 신부와 공동으로 2억4000만 원짜리 전세를 마련했고, 배우자가 그 가운데 1억 여 원을 지원했다”면서 “신부의 국적이 외국인이어서 혼인신고가 늦어진 탓에 지난달 25일 혼인신고를 마치고 증여세를 냈다”고 해명했다.
한편, 이 후보자는 이날 인사청문회 태도 논란에 휩싸였다. 민주통합당 유승희 의원이 “제2 최시중”이라고 비판하자 “제2의 최시중'이라고 하면 감옥도 갈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인가”라며 흥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