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민주통합당 대선평가위원회가 9일 대선평가보고서를 내놓았다. 이 보고서에는 문재인 전 대선 후보의 유약한 결단력과 계파 패권주의 등을 대선 패배 요인으로 내놓으면서 당 지도부를 비롯한 당사자들의 책임지는 자세를 요구했다.
평가위는 ▲사전 준비와 전략 기획 미흡 ▲당 지도부의 책임의식과 리더십 취약 ▲계파정치로 인한 당의 분열 ▲민주당에 대한 국민적 신뢰 저하 ▲방만한 선대위 구성 ▲문 전 후보의 정치역량과 결단력 유약 등을 6대 패배 요인으로 꼽았다.
문 전 후보가 대선 기간 동안 당 지도부의 전면퇴진론이나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 과정과 같은 중요한 국면에서 침묵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선대위 체제를 개편하지 못하고 변화 없이 굴러가게 한 것도 패배의 원인으로 꼽았다.
아울러 참모진 운영에서도 사적 인맥이 공조직을 통해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평가했다.
당 지도부에 대해서는 시대상황에 비해 안일했으며 중대 국면에서도 의사결정을 제대로 내리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계파 패권주의에 대해서는 “일찍이 민주당이 계파 문제 때문에 이렇게 위기상황에 처한 적은 없고, 계파 패권주의가 도를 넘은 것은 확실하다”며 “계파정치 청산은 민주당의 미래를 위한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다”고 강조했다.
총선과 대선을 수치로 평가한다면 4·11 총선 당시 한명숙 전 대표가 100점 만점에 76.3점으로 가장 큰 책임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고, 대선 당시 이해찬 전 대표가 72.3점이었다. 다음으로 ‘이박(이해찬-박지원) 담합’의 당사자였던 박지원 전 원내대표가 67.2점, 문재인 전 후보가 66.9점, 문성근 전 대표 권한대행이 64.6점을 각각 받았다.
평가위는 이런 평가보고서를 내놓으면서 당사자인 문 전 후보와 이해찬 전 대표의 정계은퇴를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