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은 새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에 대해 27일 “확고한 안보를 바탕으로 남북간 신뢰를 구축하고 회복해서 평화정착, 통일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외교부 및 통일부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외교, 통일정책 모두 국민적 합의와 공감대가 필요하다. 그래야만 정권 바뀔 때마다 정책방향이 크게 바뀐다든가 사건 생길 때마다 정책방향 바뀌는 일 없이 정책이 일관되게 추진될 수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박 대통령은 “서두르지 말고 벽돌을 하나하나 쌓듯이 신뢰를 바탕으로 남북관계를 차근차근 발전시키고 지속가능한 평화를 만들어 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위협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해나가면서도 북한을 신뢰받는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유도하기 위해선 점진적으로 지속가능한 평화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정책 추진의 원칙과 일관성이 있어야 남북관계, 외교관계에서 신뢰가 쌓이고 예측이 가능하다”며 “예를 들어 북한이 도발이나 평화를 파괴하는 행동을 하면 아무것도 얻을 수 없을 뿐 아니라 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되고 우리와 약속한 것을 지킬 때 우리도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렇게 신뢰를 지켜서 쌓은 평화가 국민들이 원하는 진정한 평화가 될 수 있고, 통일 초석이 된다”고 언급, 통일 방안에 대해 이야기했다.
박 대통령은 “개성공단 체류자들 보호에 만전을 기하고 탈북민들이 대한민국에서 행복하고 보람있게 살 수 있도록 제대로 뒷받침해줘야 한다”며 “대한민국 국민이면 지구촌 어디에서든 그에 합당한 보호와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박 대통령은 “직면한 여러 도전을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선 국제사회 힘을 합쳐나가야 한다”면서 “더 이상 북핵도 한반도만의 문제가 아니다. 한반도 평화, 동북아 안정, 나아가 세계평화에 명백한 위협이므로 국제사회와 손잡고 북한 핵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제사회의 긴밀한 공조 협의를 통해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가동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더 나아가 동북아 평화협상 구상이 제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