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6.1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

현대 자기계발 도서의 시작점 <불멸의 지혜> 출간

URL복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현대 자기계발 도서의 시작점인 '불멸의 지혜, 원저명 The Science of Getting Rich '가 출간되었다. 나폴레온 힐, 데일 카네기, 혼다 켄도가 지금의 나를 만든 최초의 시작이라고 꼽았다. 

 

 

최초 출간일인 1910년 이래 113년 동안 1,341번의 개정판이 출간된 화재의 책이다. 타밀, 힌디, 싱할라, 포르투갈, 독일, 프랑스, 스페인 외 11개 언어로 세상에 퍼졌다. 책은 나왔지만 극소수 권력자나 부자들 사이에서만 비밀스럽게 읽히다가 1999년에야 드디어 '부자가 되는 과학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에 공개되었다. 

저자 윌러스 델로이드 와틀즈(1860-1911)는 데카르트, 스피노자, 쇼펜하우어 등 세계적인 철학가들을 잇는 철학자다. 부자가 되기 위한 사고방식을 명쾌하며 실용적인 17장의 메뉴얼로 제시한다. 부자가 되려는 것은 완전히 칭찬받을 만하며 당연하고 옳은 행동이다. 심지어 자본 없고 재능 없고 빚만 잔뜩 있어도 부자가 될 수 있다. 부자들이 부를 빼앗기지 않으려고 울타리를 쳐 놓았기 때문에 내가 가난한 게 아니다. 

생각은 형태 없는 물질에서 유형의 부를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힘이다. 모든 사물의 기원은 생각하는 물질이고, 이 실체가 어떤 형상에 대해 생각하면 곧 형상이 만들어진다. 이것이 모든 사물이 생성되는 방식이다. 우리는 생각의 세계, 우주의 일부인 생각의 세계에 살고 있다. 

부는 경쟁하거나 나눠 갖지 않는다. 오직 내가 원하는 것들로 새롭게 생겨난다. 땅에 떨어진 씨앗이 스스로 싹을 틔우고 나면 무한하게 퍼트려지는 이치다.  자연의 법칙이 부의 법칙이다. 발전과 진화라는 자연의 목적과 이치가 부자되기다.

스노우폭스북스 출판사의 『세기의 책들 20선 천년의 지혜 시리즈』 경제경영 편 두번째 책이다.  편저, 기획자 서진은 세계 최초 챗GPT가 저자로 참여하고 AI로 구성된 팀으로 출간된 '삶의 목적을 찾는 45가지 방법'의 기획자이기도 하다.

책에 대한 보다 자세한 문의는 스노우폭스북스 031-927-9965로 하면 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태수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장,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서울시회장과 교류협력 환담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태수 위원장(국민의힘, 성북구 제4선거구)은 6월 11일(수)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를 방문한 박병남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서울시회장을 환영하며 상호 교류협력을 위한 면담의 시간을 가졌다.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서울시회는 2천여 주택관리사로 구성된 공동주택관리 전문단체로 ‘입주민의 행복한 주거환경 조성’을 기치로 공동주택 관리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목표로 활동을 하고 있다. 이날 면담에서 박 회장은 협회의 역할 등을 설명하며 공동주택의 효율적인 관리에 필요한 지원 및 시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서울시가 공동주택관리에 전문성을 가진 기관을 공동주택관리지원센터로 두는 방안 등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또한,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서울시회에서 개최하는 각종 행사에 주택공간위원장의 참석을 요청하였으며,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적극 참석‧지원하겠다고 화답하였다. 김 위원장은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서울시회가 공동주택관리 제도개선 및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앞장서 줄 것을 요청하며, 서울시의회도 주택관리 발전을 위해 협회와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약속하였다.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