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제

Economic Good

URL복사
삼보, 90만원대 노트북 출시

삼보컴퓨터가 90만원대 노트북 ‘에버라텍 5500’을 내 놓으며 국내 노트북 시장 2위 탈환을 선언했다.

이 제품은 15인치 LCD, AMD 모바일 Sempron 2600+, 256MB DDR333, 40GB, 24배속 콤보 드라이브, 54Mbps 무선랜 등을 탑재했다. 가격은 99만 9,000원(부가세 포함).

SK텔레콤, 시각장애인 도우미폰 출시

SK텔레콤은 음성을 통한 핸드폰 기능가 가능한 ‘시각 장애인 도우미 폰(삼성전자 SCH-580)’을 출시했다.

이 단말기는 숫자판 가운데에 위치한 ‘5’를 길게 누르면 자동으로 ‘음성 도우미 모드’로 전환돼 수·발신은 물론 통화목록과 문자메시지 부재중 전화 목록 등 기본적인 휴대폰기능을 음성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는 게 SK 측의 설명이다.


소니, 스리스타일 무선 홈시어터

소니코리아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본채 패널과 슬림한 디자인의 스피커로 벽걸이 방식 등 자유로운 배치와 감각적인 인테리어가 가능한 무선 홈시어터인 베가시어터 DAV-LF1(Layout Free)을 출시했다.

DAV-LF1은 스타일리쉬한 알루미늄 바디의 2 way system 스피커, S-Master 완전 디지털 앰프와 Digital Direct Twin Drive 서브 우퍼 시스템을 탑재 총 출력 600W의 강력한 사운드가 특징이다. 제품 가격은 248만원.


메르세데스-벤츠, 2005년형 SL-Class 출시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AMG 바디 스타일링 패키지를 기본으로 채택한 ‘2005년형 SL-Class’를 출시했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2005년형 SL-Class는 AMG 바디 스타일의 다이나믹한 사이드 스커트, 프론트 에이프런 및 리어 에이프런을 채택했다. 또 철제로 제작된 안전볼트(Safety Bolt)로 고정된 하드탑 배리오 루프는 16초 만에 자동 개폐가 가능하다는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가격은 SL 500 부가세 포함, 1억9,440만원, SL 600 2억6,120만원.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천후 냉난방기

대우일렉트로닉스가 자체개발한 Hi-Engine을 탑재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전천후 냉난방기’ 33평형(DHP-330M)과 44평형(DHP-440M)을 내놨다.

Hi-Engine은 냉난방기의 심장이라 할 수 있는 압축기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열교환 능력을 극대화하는 등 사계절 강력 냉난방을 구현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회사관계자는 “기존 제품이 겨울철 저온에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던 단점을 개선해 영하 18도의 저온에서도 난방성능을 확보하는 획기적 발전을 이루어냈다”고 말했다.


동원 알라스카 자연산 연어 출시

동원F&B가 알라스카 자연산 연어를 이용한 ‘동원 알라스카 자연산 연어’를 선보였다.

동원측은 연어는 참치와 더불어서 웰빙시대의 대표적인 수산식품으로서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참치와 함께 대표적인 건강식품으로 손꼽히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대중적인 소비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식품이라며 출시 배경을 설명했다.

이번에 출시되는 ‘동원 알라스카 자연산 연어’는 총 5개 제품으로 연어구이 220g 4,300원, 연어까스 420g 4,300원, 연어치즈스틱 480g 6,400원 이며, 통조림 제품으로 연어파티 올리브 200g 3,500원, 연어파티 딜소스 200g 3,500원이다.


신한카드 `‘사랑의 세뱃돈 나누기’ 행사

신한카드는 이달 말까지 카드회원이 적립한 포인트(1포인트당 1원)를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부하면 동일액을 회사가 추가로 기부하는 `‘사랑의 세뱃돈 나누기’ 행사를 벌인다.

이 기간에 카드회원이 인터넷 카드 결제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성금을 기부할 경우에는 신한카드도 성금액의 5%를 낸다고 회사측은 밝혔다. 기부된 성금은 소년소녀 가장 등에게 전달될 예정이며 자세한 내용은 이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www.shinhancard.com)를 참조하면 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양곡관리법·농안법, 국회 본회의 통과...농안법도 국회 본회의서 가결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석열 前대통령 1호 거부권'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과잉 생산된 쌀을 매입하는 내용의 '양곡관리법' 개정안과 농수산물 시장 가격이 기준 가격 미만으로 하락할 경우 차액을 지원하는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농안법)' 개정안이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를 열고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찬성 199표, 반대 15표, 기권 22표로 가결했다. 쌀값이 급락한 경우 초과 생산량을 의무적으로 매입하도록 규정한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추진됐다가 윤석열 정부 당시 거부권이 처음 행사돼 폐기된 바 있다. 민주당이 재추진한 이번 개정안의 수정안에서 여야는 사전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통한 수급 조절, 당해년도 생산 쌀에 대한 선제적 수급조절 및 수요공급 일치, 쌀 초과 생산 및 가격 폭락 시 수급조절위원회가 매입 관련 심사 등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수산물 시장가격이 기준 가격 미만으로 하락할 경우 차액을 지원하는 내용의 농안법도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표결 결과 찬성 205표, 반대 13표, 기권 19표가 나왔다. 농안법 개정안은 국내 수요보다 농수산물이 초과 생산되지

경제

더보기
IBK기업은행, 창립 64주년 기념식 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IBK기업은행은 1일 창립 64주년을 맞아 서울 중구 기업은행 본점에서 임직원 약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64주년 기념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김성태 은행장은 중소기업을 향한 사명감과 진심을 원동력으로 성장해 온 기업은행의 역사를 돌아보며 글로벌 초일류 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 위한 도전과제를 밝혔다. 김 행장은 “특히 올해 전례 없는 각종 위기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정책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면서, 미국 발 관세위기 등 대내외 위기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중기대출 지원으로 중기금융 역대 최대 점유비를 달성하는 한편, 소상공인의 금융비용 부담을 완화하고 상생금융을 적극 실천한 직원들의 노고를 치하했다. 아울러 ‘하남데이터센터 이전’과 ‘나라사랑카드 3기 사업 유치’ 등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사업자등록 원스톱 서비스’, ‘AI 기술을 활용한 보이스피싱 탐지기술 도입’ 등을 통해 고객가치를 최우선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한 것도 그간의 주요 성과로 꼽았다. 이어 “불확실성의 위기가 심화할수록 변하지 않는 가치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고객을 향한 진실 되고 선한 마음으로 고객의 가치를 높이는 혁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