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

여야, 국회 원 구성협상 지연에 '남탓' 신경전

URL복사

野 "오늘 중에라도 회담 열어 원 구성 마무리해야"
與 "계속 접촉 시도…野 사개특위 참여 고집 때문"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회 원 구성 협상을 놓고 여야가 신경전을 이어가고 있다. 민주당은 이준석 대표 징계 문제로 인해 원 구성이 미뤄질 가능성이 높다 하자, 국민의힘은 원 구성 지연 책임을 떠넘기지 말라고 비판했다.

박형수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후 논평을 내고 "국민의힘은 지금 당장이라도 원 구성이 가능하도록 모든 준비를 마쳤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원내대변인은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기자간담회에서 이준석 대표 징계 문제로 인해 원 구성 협상이 지연되는 것처럼 발언했다"며 "오늘 오후에도 원내수석 간 원 구성을 위한 접촉을 시도하는 등 계속해 협상을 이어오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까지 원 구성이 안 된 이유는 민주당이 원 구성과 무관한 사법개혁특별위원회(사개특위) 참여를 조건으로 내걸고 이를 고집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당 대표 징계와 원 구성 협상은 전혀 별개의 문제인 만큼, 민주당은 국민을 호도하려는 시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 위원장은 당 대표 징계 문제와 민생 문제까지 결부시켜 국민의힘이 민생 문제 해결에 집중하지 못한다고 (했다)"며 "국민의힘은 진작부터 상임위원회 간사들을 내정하고 민생 문제 해결을 위해 당정 협의 등으로 정부와 소통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상대 당의 내홍 문제라면 국민의힘도 민주당에 하고 싶은 말이 왜 없겠는가"라며 "상대 당이 내부 사정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을 때 이를 이용하는 것은 정치적 도의가 아니어서 자제하는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민주당은 국민의힘의 어려운 내부 상황을 이용해 원 구성 지연 등의 책임을 떠넘기려는 얄팍한 꼼수를 중단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허은아 수석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내고 "국회 정상화를 진정으로 원한다면, 공허한 남 탓 핑계가 아니라 조건 없는 원 구성 협상 참여가 우선"이라며 우 위원장의 발언이 '국민께서 민주당에 실망한 전형적인 '아시타비(我是他非, 나는 옳고 다른 이는 틀리다)'적 태도'라고 했다,

허 수석대변인은 "오늘 우 위원장은 원 구성 협상과 관련해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를 언급하며 내부 혼란과 각종 의혹을 운운하는 등 협상 지연 핑계를 대고 있다"며 "민주당이 작년 원내대표 간 합의의 약속을 진작 이행했더라면, 이후 계속된 협상에서 터무니없는 정치적 조건을 달지 않았다면, 이미 국회는 경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국민의힘은 지난 국회의장단 선출에서 여당으로서 책임감을 갖고 대승적으로 양보했다"며 "윤석열 정부는 국회가 공전하는 사이 민생만은 살려야 한다는 일치단결한 각오로 일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 위원장이 오늘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에 대해 걱정해주어 감사하다"면서도 "진심으로 국회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 원 구성 협상에 민주당의 조건 없는 참여가 우선임을 말씀드리고 싶다"고 덧붙였다.

앞서 우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준석 대표의 징계 문제로 국민의힘의 심각한 내홍이 보인다. 문제의 불똥이 국회로 튀고 있어 걱정스럽다"며 "오늘 중이라도 원내대표 회담을 열어 원 구성 협상을 마무리 지어줄 것을 부탁드리고 싶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