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

세계 유수의 실험 영상을 DVD로 만난다

URL복사
올해 6회를 맞이하는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은 그동안 세계의 실험영화계의 오늘을 조망하고 국내 관객에게 소개하거나 국내외 작가와 관객 간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역할을 해왔다.
특별히 올해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은 현장에서 세계의 유명 실험영화 감독들의 작품을 DVD로도 만나볼 수 있는 기회를 준비하였다. 올해 처음으로 서울아트시네마 상영관 앞 로비에서 실험영화 유명 작가들의 DVD를 판매한다.
세계 실험영화 DVD 배급사 중에서 4대 회사로 꼽히는 프랑스의 ‘르-부아Re-Voir’(www.re-voir.com), 영국의 ‘럭스Lux’(www.lux.org.uk), 로마의 ‘라로비디오RAROVIDEO(www.rarovideo.com)', 오스트리아의 인덱스(www.index-dvd.at) 등의 컬렉션이 영화제 기간 내 서울아트시네마 로비에서 판매될 예정이다.
이 중 엔 그 동안 국내에서 구하기 힘들거나 전혀 접할 수 없었던 유명 작가들의 작품이 포함되어 있어 눈길을 끈다. EXiS와 여타 갤러리나 뮤지엄(리움 갤러리의 앤디워홀 영상작품 상영, 최근 백남준 미술관에서의 실험영화 상영)의 예술관련 행사를 통해 국내 관객에게 알려져 팬 층이 형성되어 있는 앤디 워홀, 오노 요코, 존 케이지 등을 비롯해 올해 EXiS에서 국내 관객에게 소개되는 이시도르 이주Isidore Isou(EX-Choice 레트리즘Lettrism), 요나스 메카스Jonas Mekas(EX-Retro 회고전), 말콤 르 그라이스Malcolm Le Grice, 리즈 로즈Lis Rhodes, 가이 셔윈Guy Sherwin(EX-Live 라이브 퍼포먼스 섹션에서 린 루Lynn Loo와 필름 퍼포먼스 공동작업) 등 국내에서 쉽게 구하기 힘든 유명 작가들의 DVD 오리지널 버전들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예정이어서 국내 실험영화 팬들의 관심을 모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화제 이후 이 DVD 컬렉션은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주관단체인 다이애고날필름아카이브를 통해 지속적으로 만나볼 수 있게 된다.
특히 제대로 된 필름 아카이브와 라이브러리가 거의 전무하다시피 한 국내의 현실을 비추어 볼 때 이러한 DVD컬렉션을 소개하는 것은 일반 관객 뿐 만 아니라, 영상관련 연구자 및 작가들에게도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실험영화를 만날 수 있는 기회는 1년에 한 번 개최되는 EXiS와 인디스페이tm에서 한 달에 한 번씩 열리는 실험영화 정기 상영회가 거의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번 EXiS에서 시작되는 DVD 컬렉션의 국내 판매는 대안적이며 실험적인 영상들을 접할 수 있는 새로운 창구로 기능하게 될 것이다.
한편,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은 그동안 국내외 실험영화 작가들을 관객에게 소개하고 그들의 작품을 상영하는 기회를 마련하는 역할을 해 왔다.
특히 국내에서 실험영화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1년에 한 번 개최되는 EXiS와 인디스페이스에서 한 달에 한 번씩 열리는 실험영화 정기 상영회가 거의 유일하다는 측면에서 EXiS와 실험영화 작가들 간의 관계를 긴밀하게 유지하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동안 EXiS와 인연을 맺은 많은 국내외 실험영화 감독들이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 나가고 세계 유수 영화제에서 수상했다는 소식을 전해 올 때 EXiS가 더욱 자부심을 느끼게 되는 것은 당연한지도 모른다.
그래서 이번 EXiS2009를 위해 세 명의 실험영화 작가가 모였다. 박찬경, 김곡, 노경태는 모두 EXiS와의 돈독한 인연을 자랑하고 있는 작가들이다. 박찬경 작가는 주로 미술 쪽 작업을 해왔지만 영상 제작도 꾸준히 해왔으며 그의 최근 작품인 <신도안>은 EXiS2009의 개막작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Indi-Visual 섹션에 다니엘 콕번Daniel Cockburn, 핍 쵸도로프Pip Chodorov 와 함께 3인의 작가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으며 EXiS2008에서 심사위원으로 EXiS와 인연을 맺은 바 있다.
김곡 작가는 최근 <고갈>이라는 작품으로 서울독립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하고 2009 뉴욕 시라큐스영화제에서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을 휩쓸었다.(<고갈>은 9월 3일 국내 개봉을 앞두고 있다.) 김곡 작가와 EXiS의 인연은 200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1회 서울실험영화페스티벌에서 <빛과 계급(Light and Class)>이라는 작품으로 대상을 수상한 김곡 작가는 2007년까지 매년 EXiS에서 작품을 상영해 왔다.
노경태 작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산업공학을 전공한 후 국내 대기업 증권회사에서 2년간 근무하다가 미국으로 유학을 다녀온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이다. 첫 장편 <마지막 밥상>으로 서울독립영화제 최우수작품상과 부산영화제 아시아영화진흥기구상(NETPAC)을 받는 등 작가로서의 입지를 굳힌 그는 EXiS2005에서 을 상영하면서 EXiS와 인연을 맺게 되었으며 EXiS2008에서는 예심심사위원을 맡기도 하였다.
세 작가는 인터뷰를 통해 EXiS2009에서 마련된 특별 기획 프로그램들 중에서 각자 관심을 가지고 있는 ‘EX-Retro: 요나스 메카스 회고전’과 ‘EX-Choice: Lettrism(문자주의 영화)’, ‘아시아 포럼’, ‘EX-Now(국제경쟁부문)’을 꼽았다. 이들은 각각의 프로그램을 기대 섹션으로 꼽은 이유를 설명하고 자신들이 생각하는 ‘실험영화’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가 하면 박찬경 작가의 경우 EXiS2009의 개막작인 <신도안>의 연출의도에 대해 설명하기도 하는 등 진지하면서도 진솔한 자세로 인터뷰에 응했다. 각 작가의 작업실에서 이루어진 이번 인터뷰는 실험영화 작가들에게 있어 EXiS가 갖는 의미와 중요성을 재확인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세 작가의 인터뷰 동영상과 자세한 프로필은 EXiS2009 네이버 공식 카페(http://cafe.naver.com/exis)에서 볼 수 있다.
이렇듯 관객 뿐 아니라 국내외 여러 실험영화 작가들의 관심 역시 모으고 있는 제6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은 9월 10일부터 16일까지 서울아트시네마, 인디스페이스, 삼일로창고극장에서 관객과 만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방송법 개정안' 필리버스터 이틀째… 민주당, 5일 오후 본회의서 표결 처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방송법 개정안'에 대한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이 이틀째 이어지고 있다. 국회는 지난 4일 열린 본회의에서 방송법 개정안을 상정했다. 이에 반발한 국민의힘은 신동욱 의원을 시작으로 필리버스터에 돌입했다. 신 의원은 오후 4시 1분께부터 약 7시간 30분동안 반대 토론을 펼쳤다. 그는 "이 법은 1980년도 신군부의 언론통폐합에 버금가는 언론 목조르기법이라고 감히 생각한다"며 "제가 31년 동안 방송계에 종사했지만 이걸 방송개혁이라고 하는 주장에 너무나 기가 막힌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당 방송만들기 프로젝트'라고 불러달라. 그러면 저희가 순수하게 받아들이겠다"고 했다. 두 번째 토론자로 나선 김현 민주당 의원은 오후 11시 33분께부터 찬성 토론을 펼치며 "방송3법 개정안을 추진하는 목표는 방송의 자유와 독립을 보장하고 방송의 공적 책임을 높이기 위함"이라고 주장했다. 이후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이 반대 토론을, 노종면 민주당 의원이 찬성 토론을 진행중이다. 방송법은 현행 11명인 KBS 이사 수를 15명으로, 9명인 MBC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EBS 이사 수를 13명으로 늘리고 이사 추천 주체를 다양화한 것이 핵심이다. 또 지


사회

더보기
김형재 서울시의원, 서울역사박물관 주관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 개막식 참석해 축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 강남2)은 4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전‘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과 ‘우리들의 광복절’공동 개막식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특별전은 서울역사박물관과 서울시 문화본부가 공동 주최하며,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복의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시민들과 함께 기억하기 위해 기획됐다. 개막식에는 김형재 의원을 비롯해 박물관 및 문화계 인사, 연구자,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해 뜻깊은 자리를 함께했다. ‘국무령 이상룡과 임청각’ 전시는 많은 독립지사를 배출한 안동시와의 교류협력 속에서 만주지역 무장독립투쟁을 이끈 상해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이셨던 이상룡 선생과 이상룡 선생의 고택 임청각의 역사를 조명할 예정이며, ‘우리들의 광복절’ 전시의 경우 문학, 음악, 영화 등 대중문화 속 광복절을 되새기며 시민의 기억을 담아낼 계획이다. 김 의원은 이날 축사에서 “단재 신채호 선생님께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하셨고, 역사학자 E.H.Carr는‘역사는 되풀이된다’고 했다”며 “그런 의미에서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시와 서울역사박물관이 함께 마련한 이번 특별전은 매우 시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