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김종인 국민의힘 총괄선대위원장이 가장 아꼈던 이준석 당대표가 선대위를 떠났다. 이 대표는 윤석열 대선후보와 윤핵관에 저항하며 김 위원장에게 선대위 운영에 대한 선택의 폭을 안겨줬다.
이에 김 위원장은 선대위를 기동성이 있는 별동대를 중심으로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면서도 윤 후보와의 소통을 강화해 메시지를 일원화하는 일사불란한 선대위 재편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자신의 측근인 임태희 총괄상황본부를 중심으로 선대위를 운영하되 윤 후보의 최측근인 권성동 종합지원총괄본부장과의 유기적인 협조 체재를 구축해 선대위 운영의 시너지 효과를 제고할 방침이다.
이준석 대표가 선대위 직책을 내려놓고 '윤핵관'을 공개 저격하면서 당내 분위기가 어수선해졌지만 김종인 위원장은 이를 토대로 선대위 기강을 확실히 잡는 계기를 삼을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그립을 강하게 잡겠다"며 효율적 선대위 체제를 선포했다. 조직이 비대해진 만큼 전면 개편은 아니지만 선대위 핵심 조직을 활용해 기동성이 뛰어난 선대위로 탈바꿈하겠다는 구상이다.
당내 분위기는 뒤숭숭하다. 이 대표가 '윤핵관'으로 장제원 의원을 지목하면서 다른 핵심 인사들도 저마다 쓴소리를 뱉어냈다.
최다 중진인 서병수(5선) 의원은 "'윤핵관'의 소굴을 정리하지 않으면 조만간 누가 되었건 당 대표처럼 뛰쳐나갈 자들이 줄을 이을 것"이라며 "당 대표는 물론이고 최고위원들도 전원 백의종군하고 당직 또한 개편하라. 총괄선대위원장은 작금의 선대위를 해산하고 새로이 판을 짜라"고 촉구했다. 경남 총괄선대위원장인 김태호 의원은 윤 후보를 향해 "당이, 후보가 정신을 차려야 한다"고 경고했다.
반면 이 대표를 저격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재원 최고위원은 CBS라디오에서 "안타깝고 답답하다"며 "적절한 조치를 하고 빨리 앞으로 가야되지 이걸 갖고 일을 더 키우고, 다 뒤짚어 엎겠다고 하면 벌써 선거 끝날 거다"라고 지적했다. 김경진 상임공보특보단장은 "이틀 안에 복귀하지 않으면 본인의 정치적 미래가 이 순간 행위로 인해 긴 시간 암흑의 터널을 지나야 할지도 모른다"고 했다.
당내 상황이 여의치 않음에도 김 위원장은 흔들림이 없이 선대위 혁신에 나섰다. 그는 선대위를 총괄상황본부 중심으로 운영하는 '처방전'을 내놨다. 선대위가 임태희 총괄상황본부장이 이끄는 종합상황본부와, 권성동 사무총장의 종합지원총괄본부 '투톱' 체제로 혼선이 빚어진 만큼, 양 본부가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일일점검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선대위의 메시지를 일원화를 통해 혼선을 차단하겠다는 의도다.
'일일점검회의'는 지난 21일 신설됐다. 임태희 총괄상황본부장과 권성동 사무총장 겸 종합지원총괄본부장이 공동 운영하고, 6개 본부의 실무 책임자들이 주로 참석해 업무 중복으로 인한 불협화음을 조기 차단한단 계획이다.
이런 해법이 '윤핵관' 논란 등 내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매머드급 규모의 선대위 조직은 그대로 유지될 뿐더러, 대선을 두 달 여 남기고 권 사무총장의 역할 축소도 사실상 어렵다. 임 본부장도 "업무 분장이 딱 있는 것은 아니고 권 본부장은 당 사무총장, 총괄지원본부, 상황과 지원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과 윤 후보 지근거리에서 일하는 일명 '윤핵관' 사이의 갈등이 또 하나의 리스크가 될 가능성도 있다. 김 위원장도 "자기들이 잘못된 이야기로 윤 후보 당선에 도움이 되냐 생각할 것 같으면 대선 끝날 때까지 아무런 불협화음 안 일으키는 것이 가장 현명한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도 선대위 일괄 개편에는 "현실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조치가 아니다"며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