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정부가 22일 문재인 대통령이 지시한 '코로나19 병상 확보 계획'을 발표한다. 의료계는 병상 수만 늘릴 것이 아니라 의료인력 확충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20일 청와대 내부 참모진 회의에서 "특단의 조치를 통해 의료 대응 역량을 확충하겠다"며 병상 확보와 현장 의료인력 부족에 대한 해결책 마련을 주문했다.
이날 발표는 국립대병원을 코로나19 중증환자 치료에 집중시키고, 수도권 공공병원을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전환하는 방안이 골자를 이룰 전망이다.
앞서 공공의료기관인 국립중앙의료원은 전날 전체 병상 300개를 모두 코로나19 전담병상으로 전환했다. 다만 비(非)코로나 환자 진료를 포기하고 코로나 환자 치료에 집중하는 만큼 정부의 의료인력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국립중앙의료원은 "입원 중인 외상 중환자, 비 코로나 중환자, 취약계층 환자 등의 타 의료기관 소개와 코로나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의료인력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의료계는 병상만 확보할 것이 아니라 병상에서 환자를 진료할 중증 전담 인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내고 있다.
보건의료노조는 20일 기자회견을 열고 "문 대통령이 공공부문 의료인력을 코로나19 환자 진료에 투입하겠다고 밝혔지만, 의사 인력에 국한돼 간호 인력 확충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며 "정부가 코로나19 인력 기준을 준수하도록 행정명령을 내려, 병상 확보와 함께 의료인력 확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도 성명문에서 "청와대는 공공부문 의료인력으로 전문의 군의관과 공중보건의 배치를 언급했다. 의료대응 역량에 간호 인력은 제외돼 있는 것"이라며 "병상에 따른 인력 대책을 같이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가 병원에 병상당 평균 2~3억원을 지원하는 만큼, 의료인력 채용을 조건으로 명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김윤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교수는 "인력 부족이 문제라고 하면서도 정부는 항상 인력 확충 방안이 빠진 대책을 내놓고 있다. 병원이 채용을 안 하는데 그에 대한 대책이 포함되지 않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병상당 평균 2~3억원을 지원하는데, 병원에 의료인력 고용을 조건으로 이 지원금을 줘야 한다"며 "지원금 10%만 간호사를 채용하는데 써도 병상당 4~6명의 간호사 추가 고용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