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다자외교를 계기로 유럽 순방에 나선 문재인 대통령이 첫 공식 일정으로 프란치스코 교황을 만난다. 3년 전 중단됐던 교황의 방북 논의의 불씨를 살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교황 면담을 통해 차갑게 식은 한반도 평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환기시키고, 임기 말 한반도 정세의 변곡점을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지난 28일 전용기편으로 출국했던 문 대통령은 같은 날 오후 첫 순방지인 이탈리아 로마에 도착해 여장을 풀었다. 이튿 날인 29일(현지시각) 오전 바티칸 시국을 방문해 프란치스코 교황과의 면담으로 유럽 순방 공식 일정의 문을 연다.
지난 2018년 10월에 이어 두 번째로 교황청을 방문하는 문 대통령은 이번 면담에서 정부의 한반도 평화 정착 노력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교황의 지지를 이끌어낼 전망이다.
평화의 상징인 교황과의 만남 자체도 한반도 평화 문제를 국제 사회에 환기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만,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문 대통령이 3년 전 논의된 뒤 진척이 없는 교황의 방북 의사를 재확인하는지 여부다.
문 대통령은 지난 2018년 9월 평양정상회담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으로부터 교황을 평양으로 초청하고 싶다는 의사를 확인하고, 같은 해 10월 이뤄진 교황과의 면담에서 김 위원장의 초청 의사를 전했다.
당시 교황은 "공식 초청장을 보내주면 좋겠다. 초청장이 오면 무조건 응답을 줄 것"이라고 화답하고, 이탈리아어로 '나는 갈 준비가 되어 있다'는 의미로 "소노 디스포니빌레(sono disponibile)"라며 사실상 방북 초청을 수락했다.
이후 바티칸 관례에 따라 교황은 김 위원장의 공식 초청을 기다렸다. 하지만 5개월 뒤인 2019년 2월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이 합의 없이 결렬되면서 남북·북미 관계는 급속도로 냉각됐고 방북 추진 역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됐다.
관심에서 멀어졌던 교황 방북이 공론화 되기 시작된 것은 지난 5월 워싱턴 한미 정상회담과 6월 주요7개국(G7) 정상회의 계기 유럽 순방에서부터였다. 문 대통령은 계기마다 3년 전 방북 의사를 확인했던 교황의 사례를 강조하며,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불씨를 살리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만남에서 외교와 대화에 기초한 원칙을 재확인한 문 대통령은 워싱턴에서 윌튼 그레고리 추기경을 만나 프란치스코 교황이 방북 의사를 환기하면서 "하루빨리 그런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6월 오스트리아에 국빈 방문한 문 대통령은 하일리겐크로이츠 수도원 방문을 방문한 자리에서 다시 "아직 교황님의 방북이 성사되지는 못했으나 그날이 곧 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하며 교황 방북에 기대감을 재차 나타냈다.
이후 7월 박지원 국정원장도 전남의 한 성당 미사에서 "교황의 방북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고, 한국인 최초로 교황청 성직자성 장관에 임명된 유흥식 대주교도 교황 방북에 대해 "지금 어느 시대보다 가능성이 커졌다"며 힘을 보탰다.
다만 3년 전보다 더 얼어붙은 남북·북미 관계의 현재 상황을 고려할 때, 문 대통령이 주도적으로 교황 방북을 재추진을 공론화 하기 힘든 측면이 있다. 교황이 이미 북한의 공식 초청장을 전제로 한 '조건부 수락' 한 상황에서, 진전된 의사를 확인하기 전까지는 문 대통령이 전면에 나서기 어렵다는 것이다.
게다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북한은 국경을 사실상 봉쇄하고 있다.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마저 이뤄지지 못하는 상황에서 실제 방북 성사가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들도 나온다.
그렇다고 해서 상황이 반드시 비관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시각도 상존한다. 지난달 임기 마지막 유엔총회에서 종전선언을 재차 화두로 꺼내든 이후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국 사이의 물밑 대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북미 비핵화 대화의 열쇠를 쥐고 있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번 문 대통령의 다자외교 일정에 대부분 함께 참석이 예정돼 있다는 점에서 기대감이 흘러나온다.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실무 단위에서 막혀있는 '종전선언 카드' 활용 방안에 대한 물꼬가 트이지 않겠냐는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 같은 날 교황과 면담을 하고, 30~31일 로마에서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11월1~2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도 문 대통령과 동반 참석한다.
한미 정상회담 성사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임기 막바지에 있는 문 대통령으로서는 어떤 형태로든 바이든 대통령과의 만남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과의 만남이 성사되면 교황과의 면담 결과, 지난 9월 유엔총회에서 제안한 종전선언 등을 바탕으로 북한에 대화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문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를 비롯해 100여 개국이 참여하는 COP26, 헝가리·슬로바키아·체코·폴란드 등 4개국이 참여하는 한·비세그라드 그룹(V4) 정상회의 등에서 계기마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지지를 이끌어낼 것으로 보인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지난 28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평소 한반도 평화와 방북 의지를 가지셨던 교황과의 면담을 통해서 한반도 평화 문제가 국제적 공감대를 이루고, 국제적 관심이 환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교황 메시지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한발짝이라도 진전시키는 여건을 형성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기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