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5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e-biz

이벳필드 2021 서머 컬렉션 룩북 스타일링 눈길 “여름엔 이렇게!”

URL복사

 

 

서머 컬렉션 발매 기념 전품목 10% 할인 이벤트 진행

 

[시사뉴스 김찬영 기자] 아메리칸 캐주얼 브랜드 이벳필드(EBBETS FIELD)가 2021 서머 컬렉션 룩북을 공개했다.

 

이번 컬렉션은 ‘언제 어디서나 이벳필드(WHEREVER, WHENEVER, EBBETS FIELD)!’ 테마를 바탕으로, 언제 어디서나 함께할 수 있는 편안함을 선사할 서머 아이템을 다채롭게 선보인다.

 

공개된 룩북 속 2021 서머 아이템은 이벳필드의 로고가 들어간 아이템부터 이벳필드의 시그니처 캐릭터인 ‘베츠’가 들어간 아이템까지 다양하게 출시되었다. 특히 베츠 반팔 티셔츠는 일명 ‘레드벨벳 예리 맨투맨’으로 작년부터 간절기 시즌인 지금까지 꾸준하게 사랑받고 있는 베츠 스웨트셔츠를 반팔 버전으로 새롭게 선보인 제품이다.

 

브랜드 관계자는 이번 컬렉션에 대해 “이벳필드만의 브랜드 헤리티지와 유니크한 감성을 담아낸 서머 컬렉션을 다양하게 선보였고, 이를 통해 단조로운 일상에 이벳필드만의 매력을 더해 올 여름 편안하면서도 멋스런 원마일웨어 코디를 제안한다. 특히 그래픽과 레터링 디자인이 특징인 이번 컬렉션 아이템을 통해 최근 소비 트렌드를 선도하는 MZ세대의 취향도 함께 공략할 예정”라고 전했다.

 

한편, 이벳필드의 2021 서머 컬렉션은 공식 온라인 스토어와 온라인 패션 스토어 무신사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서머 컬렉션 발매를 기념해 전품목 10% 할인 이벤트를 진행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