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e-biz

총 ‘금 10돈’ 지급, 꾸브라꼬숯불두마리치킨 100호점 돌파 감사이벤트 진행

URL복사

 

[시사뉴스 김찬영 기자] 2020 대한민국브랜드대상을 수상한 ‘꾸브라꼬숯불두마리치킨’에서 100호점 오픈을 기념해 금 총 10돈, 아메리카노 총 100잔을 지급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1등 당첨자 1명에 금 5돈, 2등 당첨자 5명에 각각 금 1돈, 마지막으로 3등 당첨자 100명에게 각각 아메리카노 1잔을 증정하고 있다.

 

‘꾸브라꼬숯불두마리치킨’은 다른 치킨 브랜드와 차별성을 두기 위해 숯불치킨이라는 틈새시장을 잡았다. 튀겨내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던 기존 치킨과 달리 ‘꾸브라꼬숯불두마리치킨’에서는 숯불에 구워내는 조리방식을 택하고 있다. ‘꾸브라꼬숯불두마리치킨’의 관계자는 한 마리 가격으로 숯불치킨과 후라이드 치킨을 모두 즐길 수 있는 합리적인 가격대와 뻔하지 않은 맛을 위해 다양한 메뉴를 구성하여 많은 소비자들에게 사랑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꾸브라꼬숯불두마리치킨’의 전민호, 김태훈 공동 대표는 100호점 오픈이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말하며, “전 가맹점의 점주님들 덕분”이라고 입을 모아 감사를 표했다. 두 대표이사는 가맹점과의 상생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하며, “’꾸브라꼬숯불두마리치킨’을 사랑해주신 모든 소비자분들과 늘 함께할 것을 약속하기 위해 이벤트를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꾸브라꼬숯불두마리치킨’은 지난달 25일 자로 100호 용원점 오픈했고, 현재 120호점까지 예약이 완료된 상황이다. 오픈예정지점은 진주시청점, 포항북구점, 포항오천점, 밀양점, 부산구서점 등이 있다. 100호점 돌파를 기념하기 위한 이벤트의 자세한 사항은 ‘꾸브라꼬숯불두마리치킨’의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