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e-biz

노랑푸드, ‘소셜아이어워드 2020’ 국내프랜차이즈 인스타그램 분야 대상 수상

URL복사

 

[시사뉴스 윤호영 기자] ㈜ 노랑푸드 치킨 브랜드 노랑통닭이 ‘한국인터넷전문가협회’ (KIPFA)에서 주최하는 ‘소셜아이어워드 2020’ 에서 ‘국내프랜차이즈 인스타그램 분야 대상’ 을 수상했다.

 

‘소셜아이어워드’는 최고의 소셜 미디어 서비스 우수 사례들과 우수 기업, 기관, 단체들을 찾아 시상하는 행사로 해당분야에서 국내 최대 규모와 권위를 갖춘 상이다. 올해 소셜아이어워드 수상작은 각 분야별 대상 후보작을 공모하여 각 분야를 대표하는 인터넷 전문가 3,500명으로 구성된 아이어워즈 평가위원단이 비주얼, 브랜드, 콘텐츠, 마케팅, 서비스 등 5개 부문 15개 지표에 대해 평가한 결과를 토대로 선정되었다.

 

노랑통닭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다양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매체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에 대상을 수상한 인스타그램의 현재 팔로워 수는 7천명 이상이며, ‘눈으로 먹는 비주얼 치킨스타그램’ 으로 새롭게 리뉴얼 하여 SNS 유저들에게 브랜드의 새로운 인식과 통일감 있는 룩을 전달했다.

 

또한, 노랑통닭은 인스타그램 콘텐츠 기획 단계부터 고객들의 일상 속에서 치킨이 필요한 상황을 위트 있게 풀어내며 감각적인 자극을 극대화할 수 있는 포인트를 설계하였으며 고객들이 경험할 수 있는 아이템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콘텐츠에 대한 높은 공감대를 형성함은 물론 브랜드와 고객이 따로 움직이는 일방적인 채널이 아닌 충분한 인터랙션을 통하여 쌍방향적으로 소통하는 채널이 되었다.

 

노랑통닭 관계자는 “단순히 브랜드 정보만을 전달하는 채널이 아닌 고객들의 일상을 공감하며 브랜드 인지에서 선호 단계까지 성장하기 위해 주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비주얼 중심의 치킨이 주는 즐거움을 전달하며 타 브랜드와 차별화된 브랜드 룩북 채널로 늘 새롭게 고객들을 만나고 싶다.” 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