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

[코로나19발생현황] 신규확진 34명 중 국내발생 21명…8일만에 국내발생>해외유입

URL복사

서울 10명·광주 10명·대전 1명 등 지역사회 감염
서울·광주 지역감염 집중…검역·경기·인천·제주서

 

[시사뉴스 이혜은 기자] 국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 환자가 34명 발생해 이틀 연속 30명대로 집계됐다. 서울과 광주에서 10명씩, 대전에서 1명 등 지역사회 내 감염 확진자 21명이 발생하면서 8일 만에 국내 발생이 해외 유입 규모를 앞질렀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9일 오전 0시 기준 국내 누적 확진환자가 1만3745명이라고 밝혔다. 지난 18일 0시 기준 누적 확진자는 1만3711명이었는데 하루 사이 34명이 늘어난 것이다.

신규 확진자 발생 지역은 서울과 광주가 각 10명, 검역 7명, 경기 4명, 인천·대전·제주 각 1명 등이다.

7월 들어 하루 확진 환자는 1일 확진자가 통계에 반영된 2일 54명으로 시작해 4일 가장 많은 63명까지 증가한 이후 11일 35명까지 내려갔다가 30명대와 60명대를 오르내리고 있다. 다만 7월 초 국내 발생으로 확진자가 증가했다면 최근 들어선 해외 유입에 따라 확진자 수가 증감을 반복하고 있는 양상이다.

지난 5일 오전 0시 이후 이날까지 최근 2주간 일평균 신규 확진자는 46.8명이다. 지난 한주 동안은 60명대와 30명대를 오르내리고 있다. 13일부터 일별로 62명→33명→39명→61명→60명→39명→34명 등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들의 감염 경로를 보면 국내 발생은 21명, 해외 유입은 13명이다. 국내 지역사회 발생 확진자 수가 해외 입국 확진자 규모를 앞지른 건 11일(국내 발생 20명, 해외 유입 15명) 이후 8일 만이다.

정부가 감염 확산 가능성이 높다며 주목하고 있는 지역사회 신규 감염자는 21명이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에서 10명, 광주에서 10명, 대전에서 1명 등이 확인됐다.

전날 기준으로 21일 만에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았던 광주에선 하루 사이 10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특히 서울 송파구 60번째 확진자의 광주 친인척 9명 등이 잇따라 확진됐다.

서울에선 성수고등학교 학생과 중구 한화생명 관련 감염이 이어졌고 대전에선 감염 경로를 조사 중인 확진자의 가족인 30대 여성이 17일 자가격리에서 해제된 이후 증상이 나타나 실시한 검사에서 확진 판정을 받았다.

해외유입 확진자 13명은 검역에서 7명, 경기에서 4명, 인천에서 1명, 제주에서 1명 등이 확인됐다. 지난 12일부터 18일까지 7일째 두자릿수였던 공항과 항만 검역 확진자는 8일 만에 한자릿수로 집계됐다.

감염 후 치료를 통해 완치된 확진자는 37명이 늘어 1만2556명이다. 확진자 중 완치자 비율을 나타내는 완치율은 91.4%를 기록하고 있다.

코로나19 관련 사망자는 1명이 추가돼 295명이다. 확진자 중 사망자 비율을 나타내는 치명률은 2.15%다.

현재 격리돼 치료 중인 환자는 4명 줄어 894명이다.

하루 간 코로나19 진단검사는 5095건이 실시됐으며 누적 검사량은 146만5299건이다. 현재까지 142만9601건이 음성 판정을 받았고 2만1953건이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윤영희 서울시의원, “스타벅스·맥도날드, 서울 드라이브스루 안전시설 전면 보강 완료”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국민의힘 윤영희 서울시의원은 서울시 내 드라이브스루(DT) 매장에 대한 구조적 안전시설 보강이 사실상 전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고,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으로서, 그리고 서울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누구나 안심하고 걸을 수 있는 보행안전 도시 서울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윤 의원은 지난해 서울시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내 드라이브스루 52곳 중 93%인 49곳이 안전 필수시설이 전무하거나 매우 미흡한 실태를 지적한 바 있다. 당시 조사에 따르면, 경보장치는 35개소(67%), 차량 추락 방지용 볼라드는 44개소(85%), 진출입로 개선은 24개소(46%), 경사구간 보강은 18개소(35%), 점자블록 18개소(35%), 대기공간 27개소(52%), 정지선은 10개소(19%)에 불과했으며, 안전시설이 전혀 설치되지 않은 매장도 4곳에 달했다. 윤 의원은 특히 도로점용 허가 갱신 시 필수 안전시설 설치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꾸준히 요구해왔다. 이후 윤 의원은 주요 프랜차이즈 본사와의 간담회, 현장 점검, 행정 권고, 도로점용 기준 정비 등을 통해 민간·의회·행정 간 긴밀한 협력 구조를 바탕으로 제도 개선과 현장 조치를 이끌어

문화

더보기
지역, 국가, 세계, 지구 나아가 우주를 이해하는 힘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해냄에듀가 ‘세계를 읽는 지리의 힘’을 출간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국가, 세계, 지구 나아가 우주를 이해하는 힘은 지리에서 시작된다. 신간 ‘세계를 읽는 지리의 힘’은 세계가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학문인 지리학을 구성하는 개념과 사상을 간결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인문지리학과 자연지리학 영역을 모두 포함해 환경, 공간, 장소와 같은 핵심 주제를 다루며, 지리학의 연구 방법과 지리학사도 조명한다. 이를 통해 지리학이 왜, 그리고 어떻게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보여준다. 입문서지만 단순화되지 않은 이 책에서 저자는 학생들이 사전 지식 없이도 지리학의 역사와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짧고도 세련된 이 책은 ‘지리적 상상력’에 매료된 모든 독자들에게 흥미로운 읽을거리가 될 것이라 전한다. 이 책의 저자인 앨러스테어 보네트는 지리학과 교수이자 여행 작가다. ‘장소의 재발견’, ‘지도에 없는 마을’ 등을 통해 낯선 장소와 익숙한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냈던 그가 이 책에서는 지리학에 대해 말한다. 저자가 말하는 지리학은 단순히 지도를 외우거나 어느 지역에서 어떤 자원이 생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