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e-biz

아브뉴프랑 광교점, 오픈 5주년 추첨 이벤트 및 매장별 할인 혜택 마련

URL복사

 

[시사뉴스 윤호영 기자]  호반이 만든 유통 상업시설인 아브뉴프랑 광교점은 오는 5월 28일 오픈 5주년을 맞이한다. 광교 아브뉴프랑은 오픈 5주년을 기념해 푸짐한 경품 추첨 이벤트와 매장별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추첨이벤트는 5월 내 5만원 이상 구매한 고객에 한해 진행되며 행사기간은 5월 29일부터 31일까지이다. 추첨을 통해 △애플 에어팟 프로(1명) △커피 교환권(10명) △아이스크림 교환권(20명) △손소독제(200명) △브랜드 스페셜 쿠폰(400명) 등 풍성한 경품을 증정한다.

 

또한 광교 아브뉴프랑의 ‘옴 레스토랑’, ‘지아니스나폴리’, ‘참그릴’은 방문 포장시 10%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맘동물병원’에서는 반려동물 연간 접종 패키지 20% 할인을 제공하는 등 매장별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아브뉴프랑 관계자는 “오픈 5주년 추첨 이벤트로, 무거워진 사회 분위기도 바꾸고 고객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은 만큼 좋은 이벤트로 보답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아브뉴프랑 전 지점에서는 빈백 전문 브랜드 ‘요기보(yogibo)’와 콜라보하여 휴게공간도 새롭게 꾸며진다. 오는 29일부터는 리뉴얼 기념 이벤트로 아브뉴프랑에서 요기보 제품과 함께 휴식을 취하고 있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 인스타그램에 공유하면 추첨을 통해 요기보 상품을 증정한다.

 

그밖에도 아브뉴프랑은 코로나19로 경기가 안 좋아진 요즘 아브뉴프랑 방문 고객들을 대상으로 소소한 행복을 전하기 위한 착한소비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아브뉴프랑에서는 국가재난지원금 사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이벤트와 혜택 관련 자세한 내용은 아브뉴프랑 홈페이지 또는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