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5.7℃
  • 맑음강릉 11.4℃
  • 구름조금서울 4.7℃
  • 구름많음대전 8.1℃
  • 구름많음대구 9.7℃
  • 흐림울산 10.4℃
  • 흐림광주 9.1℃
  • 구름많음부산 14.9℃
  • 흐림고창 8.1℃
  • 흐림제주 12.0℃
  • 맑음강화 4.5℃
  • 구름조금보은 6.7℃
  • 구름많음금산 8.2℃
  • 흐림강진군 9.9℃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3.9℃
기상청 제공

경제

“남녀 2명 중 1명, 계절 상관없이 속옷 착용”

URL복사

상당수는 불편하지만 감수
여름 속옷 선택 시 ‘위생·쿨링효과’ 중점


[시사뉴스 조아라 기자] 국내 소비자 상당수가 불편을 느끼면서도 계절에 따라 속옷을 구분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라이프스타일웨어 세컨스킨이 지난 8일부터 15일까지 성인 243명(여성 170명, 남성 73명)을 대상으로 ‘계절별 속옷 착용 습관’을 알아본 결과, 남성 소비자의 65%, 여성 소비자의 57.4%가 ‘속옷을 계절에 따라 구분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또한 이들 중 상당수가 ‘같은 속옷 때문에 불편함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구별 없이 속옷을 착용하는 소비자 중 남성 응답자의 36%, 여성 응답자의 56.4%가 ‘불편함을 느끼지만 그냥 감수한다’고 답한 것.


계절 속옷을 구분해 입는 소비자들의 경우, 62%가 계절에 따라 구별해 입는 가장 큰 이유로 ‘통풍·땀 흡수 등 기능성’을 선택했다. ‘재질·두께 등의 착용감 차이’가 26%로 그 뒤를 이었다. 기타 의견으로는 ‘겉옷으로의 비침’이나 ‘디자인’, ‘심리적인 요인’ 등이 있었다.


여름 속옷 구매 시 가장 중점을 두는 요소로는 남성의 49%, 여성의 55%가 ‘통풍이나 흡습 등의 위생효과’를, 남녀 응답자 각 44%, 34%가 ‘가볍고 몸에 붙지 않는 소재에 따른 쿨링효과’를 선택했다. 이 밖에도 남성은 ‘외적 디자인(5%)’, 여성은 ‘군살 보정(9%)’을 가장 중요시한다고 답했다.


여지윤 세컨스킨 영업전략팀장은 “속옷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에 비해, 여전히 계절별 속옷 선택에 대한 인지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불편한 착용감 외에도 위생 등과도 직결된 만큼 계절에 맞는 속옷 선택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전쟁이 인간에게 남긴 상처와 희망의 잔향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임란, 삼백 감꽃’을 펴냈다. 역사의 한 페이지가 인간의 숨결로 되살아날 때, 우리는 단순한 과거의 기록이 아닌 오늘의 질문과 마주하게 된다. ‘임란, 삼백 감꽃’은 임진왜란의 작원관 전투를 배경으로, ‘삼백 용사’의 숨결을 따라 조선의 절박한 항전과 인간의 내면을 탐구한 역사 판타지 소설이다. 작가 이준영은 헤로도토스의 ‘역사’를 강의하며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고대 스파르타의 테르모필라이 전투와 조선의 작원관 전투를 한 축으로 잇는 상상력을 펼쳐 보인다. 작원관의 벼랑 끝에서 싸운 삼백 용사들의 이야기는 단순한 전쟁사가 아니다. 그것은 신념과 두려움, 희생과 연대가 교차하는 인간의 초상이며, 한 시대를 지탱한 마음의 기록이다. 작품 속 아몽 군관과 소년 민기의 여정은 전장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인간이 끝내 지키려 한 ‘꿈’과 ‘사랑’을 상징한다. 전투의 비명과 침묵 사이에서 울려 퍼지는 감꽃의 이미지는, 피와 흙, 그리고 희망이 어우러진 시대의 숨결을 떠올리게 한다. 이준영 작가는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상상력을 교차시키며, 현실과 꿈,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서사를 완성한다. 액자식 구조와 꿈의 장치를 통해, 독자는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