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수정 기자] 취업준비생, 특별한 이유 없이 쉬는 사람, 일주일간 취업시간이 18시간도 안 되는 취업자 등 사실상 실업자 신세에 놓인 인구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450만명을 넘어섰다.
취업을 위해 학원에 다니지 않고 혼자 힘으로 취업 준비에 올인하는 '자력갱생형' 취업준비생은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공식 실업자에 취업준비생, 고시학원·직업훈련기관 등 학원 통학생, 쉬었음, 주당 18시간 미만 취업자 등을 모두 합친 '사실상 실업자'는 지난해 453만8000명이었다.
정부가 지난해 공식 실업자로 집계한 101만명2000명의 4.5배에 달하는 수치다.
유형별로는 지난해 고시학원이나 직업훈련기관 등에 등록하지 않고 혼자 힘으로 입사를 준비하는 취업준비생은 40만1000명이었다. 이는 전년 37만4000명보다 7.21% 증가한 것으로 증가 폭은 2008년 11.6% 이후 최대다.
고시학원이나 직업훈련기관 등 취업을 위한 학원에 다니며 취업을 준비하는 인구는 22만7000명이었다.
취업준비생은 통계청이 집계한 실업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실업자는 취업자와 함께 경제활동인구를 구성하는데 이들은 아예 일할 능력이 없거나 능력은 있어도 일할 의사가 없는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하루에 반나절 정도만 일하면서 재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이나 큰 병을 앓는 것은 아니지만 그저 '막연히' 쉬고 싶어서 일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도 마찬가지로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는다.
지난해 '쉬었음' 인구는 162만5000명으로 전년에 이어 2년 연속 증가하며 16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취업시간 18시간 미만 취업자 수는 전년보다 5만1000명(4%) 늘어난 127만3000명이었다. 전체 취업자 중 비율은 사상 최고치인 4.9%를 기록했다. 단시간 근로 등 질 낮은 일자리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사실상 실업자'의 증가는 실업률에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고용률 상승 폭 둔화로 나타나고 있다.
고용률은 2014년 전년보다 0.7%포인트 상승했지만 2015∼2016년 2년 연속 0.1%포인트 상승에 그쳤다.
문제는 올해에도 고용시장의 한파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 당장 뚜렷한 경기 회복 모멘텀을 찾기 어려운 데다 1분기 청탁금지법 영향이 현실화할 것으로 보이면서 내수 둔화에 대한 우려도 큰 상황이다.
특히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2월 졸업시즌 이후 청년들까지 노동시장으로 쏟아져 나오면 실업률은 더 치솟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