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수정 기자] 설 명절을 앞두고 장바구니 물가가 일제히 치솟으면서 차례상 부담이 더욱 커지게 됐다. 특히 역대 최악의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 여파로 계란값이 연일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데다 무와 양파, 양배추, 감자 등의 채소류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갈치와 참조기, 명태, 오징어 등도 생산량이 줄어들어 차례상을 준비하는 주부들의 근심은 더욱 깊어질 전망이다. 여기에 이른바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까지 겹치면서 올해엔 설 특수마저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 서민들 '아우성'
지난해 말부터 라면, 맥주, 과자 가격이 줄줄이 오른데 이어 AI로 계란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여기다 최근에는 남미지역 대두작황 문제로 B2B(기업간거래)식용유값도 들썩이고 있다.
실제로 요즘 장바구니 물가를 살펴보면 기초 생필품부터 농산물에 이르기까지 가격이 오르지 않은 품목을 찾기가 힘들 정도다. 가뜩이나 힘든 경제 불황 속에 빠듯한 수입만으론 이제 장보기조차 두렵다는 서민들의 비명이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 1월17일 기준 전국 19개 지역, 45개소의 전통시장과 대형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설 차례상 관련 30개 성수품 가격을 조사한 결과 전통시장 25만3000원, 대형유통업체 34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각각 4.9%, 0.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쇠고기와 배추, 무, 계란은 가격이 크게 상승했다. 떡국과 고깃국에 들어가는 쇠고기 양지(300g)는 전통시장에서 지난해보다 7.4% 오른 1만2453원, 대형마트에서는 5.5% 오른 2만295원이었다. 무(200g)는 지난해보다 50~60% 올라 전통시장에서 322원, 대형마트에서 232원이었다. AI의 여파로 계란(10개)이 전통시장에서는 두 배 넘게 오른 3267원이었고 대형마트에서도 51.1%가 오른 2982원에 판매됐다.
반면 지난해보다 값이 싸진 품목도 있었다. 조기(3마리)는 전통시장에서 1만1265원, 대형마트에서 1만5139원으로 지난해보다 8~12% 저렴해졌다. 두부도 3~22% 가량 저렴해져 전통시장에서 1081원, 대형마트에서 2879원이었다.
가공식품 가격도 심상치 않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소면은 26% 가격이 상승해 가공식품 가운데 가장 큰 가격 상승폭을 보였다. 또 음료는 15%, 아이스크림은 13% 가격이 올랐다. 병 보조금이 오르며 맥주와 소주 역시 병당 최대 100원 올랐다.
50대 주부 B씨는 "곧 설이 다가오는데 명절 장보기가 두렵다"며 "올해는 배추,무 등 야채부터 계란, 과일까지 안 오른 품목이 없다"고 하소연했다. B씨는 "평소 장볼 때도 10만원은 기본으로 넘기게 된다"며 "월급만 안 오르고 다른 것들은 잘도 오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식용유, 계란 등의 가격상승이 가공식품 가격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일부 유통업체들이 원가인상에 편승해 과도하게 가격을 올리는 것도 물가가 좀처럼 잡히지 않는 이유"라고 말했다.
알맹이 없는 물가대책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을 앞두고 서민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지만 정부는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준다. 국가의 물가 콘트롤타워가 아예 마비됐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정부는 지난 1월10일 설 연휴를 앞두고 채소·과일·축산물·계란 등 설 성수품을 평소보다 1.4배 늘리고 성수품 할인판매와 5만원 이하 선물세트 공급 확대를 주요 골자로 한 '설 민생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같은 정부의 대책 마련이 꽁꽁 얼어붙은 내수에 온기를 불어넣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이번 물가대란은 기상이변으로 인한 작황 부진, AI로 인한 계란값 인상, 남미지역 콩 수급문제 등이 물가인상의 주된 이유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지난해 말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한 후 물가 콘트롤타워가 사실상 마비된 것도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물가 인상에 대한 정부의 행정지도력이 무력화된데다 사태가 터지자 땜질식 처방에만 급급하는 모습을 통해 서민들은 크게 분노하고 있다.
실제로 정부의 계란 관세율 인하의 경우 실질적인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유통업체의 '꼼수'로 출고가격 인하폭이 관세율 하락분에 크게 못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통계청의 12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계란가격은 AI의 영향이 직접적으로 반영되기 전에 이미 전월 대비 8.7% 급등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AI로 인한 닭고기 공급량 축소와 계란 가격 폭등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식용유 공급부족과 가격인상까지 더해져 전반적인 생활물가가 더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며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정부의 노력과 대책이 필요하며, 서민물가상승에 대한 관심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또 청탁금지법에 따른 소비 위축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포장 상품과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세척과일 등 신상품 개발을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이미 꽁꽁 얼어붙은 소비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수 있을지 의문이 커지는 실정이다.
유통업계는 5만원 이하 선물세트의 비중과 판매가 늘긴했지만 마진율이 크게 줄어들면서 실제적인 수익으로 직결될지는 미지수라고 입을 모은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은 미래가 불안할 경우 지갑부터 닫는다"며 "1월은 설 명절 특수로 어느 정도 매출을 올렸지만 2월에는 큰 걱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