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무용단(예술감독 손인영)은 '2022 무용극 호동'을 10월 27일(목)부터 29일(토)까지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초연한다. 이번 공연은 창단 60주년을 맞아 국립무용단 초대 단장 송범(1926~2007)이 정립한 무용극 장르의 정통성을 되새기며 오늘날 무용극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무대다. 국립무용단원 정소연·송지영·송설이 공동 안무, 연출가 이지나가 대본·연출을 맡았다. 2022 무용극 호동은 국립무용단 무용극 형식을 정립한 송범의 ‘왕자 호동’(1974), ‘그 하늘 그 북소리’(1990)를 계승하는 동시에 미래의 무용극을 표방한다. 국립무용단 간판 무용수이자 다수의 작품에서 안무·조안무로 참여한 바 있는 정소연·송지영·송설이 공동 안무로 나선다. 이들은 과거 송범의 원작에 등장한 ‘청룡 춤’을 오마주한 장면을 등장시키는가 하면 세밀한 감정 연기가 돋보이는 몸짓으로 인물의 복잡하고 다층적인 감정을 극적으로 표현한다. 이 밖에도 국립무용단원 44명 전원이 무대에 올라 선보이는 군무도 볼거리다. 한국 춤에 깃든 다채로운 호흡을 극대화한 유려한 춤사위로 채우는 장면부터 전쟁과 갈등을 그리는 격정적이고 역동적인 표현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인터넷 서점 알라딘은 6일 오후 8시 발표된 노벨문학상 수상자 아니 에르노의 국내 출간작에 대한 독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알라딘에 따르면, 국내에 번역된 아니 에르노의 저서 판매량이 수상 발표 직후인 8시를 기점으로 급증했다. 아니 에르노의 국내 번역 작품이 직전 1개월간 총 판매량이 183권가량이었던 데 반해, 수상 발표 직후인 6일 오후 8시부터 7일 오전 10시까지의 판매량은 1215권으로 14시간 만에 직전 1개월간의 총 판매량의 4배 이상에 달했다. 이는 수상 직후 만 하루 동안 700권 이상 팔린 2014년 수상자인 파트릭 모디아노나, 300권가량 판매된 2013년 수상자 앨리스 먼로, 800여 권이 판매된 2017년 수상자 가즈오 이시구로의 판매량을 웃도는 수치다. 가장 많이 팔린 작품은 2012년 12월 번역 출간된 ‘단순한 열정’과 2022년 5월 번역 출간된 ‘세월’이다. 두 작품은 각각 213권, 162권 판매돼 알라딘 일간 베스트셀러 2, 6위에 올랐다. 다음으로 많이 팔린 작품은 △빈 옷장 △남자의 자리 △집착 등으로 각각 121권, 96권, 73권이 판매됐다. 알라딘 도서팀 외국소설 담당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제4회 우리말 예술 축제 ‘말모이 축제’ 운영위원회는 3·1운동 103주년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3주년, 10월 9일 제576돌 한글날을 맞아, 한반도 전역의 언어, 지리, 문화 특색을 갖춘 우리말 축제를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및 야외무대에서 개최한다. 이날 오후 2시부터 5시 30분까지 열리는 문화행사는 제주 말부터 이북 말까지 풍성한 우리말 잔치가 열린다. 말모이 축제는 올해 4회를 맞이해 서울시 민간축제 지원사업에 선정돼 서울시민들에게 우리말의 순수함과 재미를 느끼고 출신 지역인에게는 고향의 향수를 만끽할 수 있는 우리말 예술축제로 발돋움하고 있다. ‘말모이 축제’는 우리말의 소중함을 시민과 함께 즐기는 대면 체험형 행사로 운영된다. 한반도 사투리가 다모이는 이번 행사는 7개 지역별 사투리 체험(각 지역의 여러 말투 체험과 단어 맞추기), 대국민 우리말 맞추기(모두가 참여하는 OX 구분의 5단계 난이도의 우리말 뜻 맞추기), 우리말로 하나되는 ‘우리말 지도’ 만들기(우리말 서로 만드는 하나 되는 한반도 지도 완성하기) 등 다양한 우리말 체험을 해볼 수 있도록 다채롭게 구성됐다. 한편 본 행사인 ‘말모이연극제’ 참가팀의 갈무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남산국악당은 비온뒤와 공동기획으로 매 공연 경기소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진화하는 천생 소리꾼 강효주의 ‘서울, 장안의 소리’를 10월 13일(목)~14일(금) 오후 7시 30분 서울남산국악당에서 양일간 개최한다.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교수로 재직 중인 강효주는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로,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여 년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단원으로 국내외 활발한 활동을 이어온 그는 공연뿐만 아니라, 교육자로서의 영역을 확장하며 전통 성악의 올바른 전승을 위한 후학 양성에 매진했다. 동시에 경기소리 레퍼토리의 개발과 확장을 위한 활동을 꾸준히 엮어가고 있다. ‘서울, 장안의 소리’는 예전 서울 사대문 안에서 활동하던 전문 소리꾼을 비롯해, 경기소리 애호가, 귀명창 등이 한데 모여서 소리를 주고받으며 즐기던 ‘파움’과 같은 이 시대의 공청(公廳)을 열어보고자 만든 작품이다. 총 7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이번 공연은 조선 말기 서울 장안의 대중들에게 대단한 인기를 누렸던 종목인 ‘잡가’와 1910년대 서울 지역에서 많이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블루아이드소울(Blue-eyed-Soul) 팝의 거장 마이클 볼튼(Michael Bolton)이 11월 내한한다.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인 그는 무려 7500만장이 넘는 앨범을 판매했으며, 빌보드 선정 올 타임 전설 아티스트에 등재됐고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 6개, 그래미 어워즈 2개 이상의 수상 경력을 보유한 세계적인 아티스트다. 이번 공연을 제작하는 KBES에 따르면 ‘When a man loves a woman’, ‘How Am I Supposed To Live Without You’ 등 수많은 명곡을 불러온 볼튼은 2014년 올림픽공원 체조 경기장 공연 이후 8년 만에 내한하는 것이다. 올 11월 8일과 9일 저녁 8시 이틀간 고척 스카이돔에서 개최되는 공연 ‘Encore, ‘Michael Bolton Live in Seoul’’에서는 마이클 볼튼과 함께 정홍일, 소향의 무대도 펼쳐질 예정이다. 8일 마이클 볼튼과 무대에 서는 정홍일은 유명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에 얼굴을 알렸으며, 개성 넘치고 흡입력 있는 외모와 음악성으로 단숨에 팬들을 사로잡았다. 이어 9일에는 대한민국 대표 보컬리스트 소향이 함께한다. 소향과 마이클 볼튼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음악감독이자 대표 박은희가 이끄는 한국페스티발앙상블 제74회 정기연주회가 오는 11월 8일(화) 오후7시30분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에서 열린다. 문학과 음악 시리즈 전 4회를 마치고, 이번에는 '음악과 미술의 만남'을 주제로 준비하는 첫 공연이다. '박은희의 전람회 산책 - 작곡가의 초상화'는 "감히 어떤 화가가 당대 최고의 음악가를 오래 앉혀놓고 초상화를 그릴 수 있었을까?"라는 궁금증에서 출발한다. 모차르트 손위 동서 요셉 랑게(1751-1831, Joseph Lange)는 알로이지아와 결혼한 배우 겸 아마추어 화가였다. 알로이지아는 모차르트의 아내 콘스탄체의 언니이면서, 청혼을 단번에 거절한 모차르트가 사랑했었던 여인이었다. 그럼에도 모차르트와 랑게는 매우 친한 사이였다. 그림 그리는 일을 포기한 랑게가 비록 미완성으로 남긴 초상화는 오늘날 모차르트와 가장 닮은 그림으로 사랑받고 있다. 1부 첫곡으로는 클라리넷 김주현, 바이올린 김은식, 김진승, 비올라 김혜용, 첼로 허철이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5중주 A장조 K.581를 연주한다. 조지 거슈윈(1898-1937, George Gershwin)도 뛰어난 재능의 아마추어 화가였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이경훈)은 참가자들이 주요 공간을 둘러보며 무형유산을 경험하는 투어 프로그램인 <국립무형유산원 나들이>를 오는 10월 8일(토)에 운영한다. <국립무형유산원 나들이>는 투어와 공연이 결합된 체험형 프로그램이다. 투어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6명의 배우들이 소공연 형태로 국제회의장, 공연장, 전시실 등 무형유산원의 주요 공간을 소개하는데, 해녀, 줄타기, 대목장 등 우리나라 무형유산 전승자로 변장해 연기한다. 투어 프로그램은 무형유산을 더 친근하게 소개하고, 기관 인지도를 보다 높이기 위한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투어 프로그램은 올 8월 처음 시작했으며, 총 4회 회차별 20명씩 사전 모객한 인원이 전원 마감되어 인기리에 운영되었다. 당시 한 참가자는 “이번 투어를 통해 무형유산의 가치와 소중함을 느끼게 되었고, 전시와 공연 외에도 다양한 역할을 국립무형유산원에서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전했다. 10월에 운영하는 <국립무형유산원 나들이>는 8일(토) 오전 10시 30분과 오후 12시 30분에 각각 시작한다. 오전 참가자는 체험으로 사각 조명등을 만들어 볼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이경훈)은 한국과 멕시코 수교 60주년을 기념하여 멕시코 대표 무형유산 ‘마리아치’ 악단을 초청, 를 오는 10월 7일(금)부터 8일(토)까지 이틀간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대공연장(전북 전주시)에서 공연한다.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된 ‘마리아치, 현악과 노래 그리고 트럼펫 연주(Mariachi, string music, song and trumpet)’는 멕시코인이 태어날 때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삶과 함께하는 전통 음악으로 각 지방의 생활과 신앙 풍습 등을 담고 있다. 멕시코 문화를 감동적으로 담아낸 영화 <코코(Coco, 2018)>에도 마리아치가 등장한다. 특별히 이번 공연은 한·멕 수교 60주년을 맞아 125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마리아치 그룹 ‘마리아치 바르가스 데 테칼리틀란(Mariachi Vargas de Tecalitlan)’이 출연한다. 1897년 결성되어 6세대에 걸쳐 전승된 이 그룹은 멕시코 현지에서도 정통성과 영향력을 인정받는 그룹이다. 북미,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적으로도 수차례 공연을 매진시키며, 독창적인 음악색채를 바탕으로 마리아치의 역사를 새로 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피셔인젤예술기획은 기타리스트 최인의 독주회를 11월 5일 오후 7시 30분 영산아트홀에서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독주회에서 ‘DAWN’이란 제목으로 올해 작곡한 그의 신곡들과 팬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는 창작곡들을 무대에 올린다. 이번 독주회에서는 그의 신곡 DAWN이 초연된다. 비올라와의 이중주곡으로 작곡된 이 곡은 조용한 새벽, 검푸른 하늘과 겹겹이 쌓인 짙은 구름을 뚫고 찬란하게 밝아오는 여명을 노래한 곡이다. 2016년 초연된 이래 기타 이중주, 기타와 더블베이스 이중주 등으로 편곡 돼 공연된 바 있는 ‘공간 1, 2, 3’이 기타와 비올라의 이중주곡으로 편곡이 돼 초연된다. 최인 기타 리사이틀은 이용한 기타, 광주현대병원의 후원으로 제작됐으며, 티켓은 10월 7일부터 인터파크 티켓을 통해 예매할 수 있다. 티켓은 VIP석 5만원, R석 3만원, S석 2만원이며 10월 23일까지 예매 시 조기 예매 20% 할인이 적용된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동자동휘가 옥시모순(oxymosoon) 뮤지션의 앨범 ‘I RECOGNIZE ME’ 발매를 기념해 단체 전시전 ‘I RECOGNIZE ME’를 기획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단체전은 옥시모순(oxymosoon) 뮤지션 앨범 발매를 기념한 전시 작업에 참여한 12명의 아티스트(프로젝트 그룹명: I Recognize Me)가 주축이 돼 여는 전시회로, 서울시 성동구에 위치한 SANDWICH apt갤러리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한 가지의 공통된 주제를 정한 뒤 ‘나’를 인지하는 과정을 창작에 빗대 각각의 이야기로 풀어나가는 방식으로 옥시모순(oxymosoon), 동자동휘, 소리현 등 세 명의 아이디어로 구성됐다. 전시 작업에는 △전시 디자인(디자이너 MINE) △설치(작가 SORI HYUN: 소리현) △조형(작가 황승철·LUCKXY: 럭씨), 페인팅(DONGZADONGHWI: 동자동휘) △전시 서문(작가 홍세유) △비디오(아티스트 KKIRMN: 킈림·Yakid: 야키드·Fluxusmanson: 플럭서스맨슨·YAN: 얀)에 참여해 그들만의 색깔로 자아를 인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옥시모순(oxymosoon)의 앨범을 기반으로 시작한 이번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이창기)이 10월 3일(월) 오후 1시 장충체육관에서 제1회 ‘서울생활예술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코로나19로 인해 위축된 문화예술 활동을 회복하고자 올해 새롭게 기획된 ‘서울생활예술페스티벌’은 직업, 성별, 나이와 상관없이 자발적으로 생활 속에서 예술을 실천하는 시민예술가들의 화합의 장이다. ‘예술 같은 생활, 생활 같은 예술. ‘생활’이 ‘예술’로 연결되다!’를 슬로건으로 진행되는 이번 축제는 39개 동호회 1000여 명의 시민예술가가 참여하는 서울 최대 규모 생활예술 종합 축제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서울시 25개 자치구 대표 39개 동호회의 공연과 전시·체험 프로그램인 ‘커뮤니티 25(COMMUNITY 25)’ △250명의 시민과 3명의 예술가가 함께 만들어 내는 특별한 무대 ‘콜라보 250(COLLABO 250)’ △부부 예술가인 국악인 박애리와 댄서 팝핀현준 축하 공연 등이 풍성한 즐길 거리를 마련한다. ‘커뮤니티 25(COMMUNITY 25)’ 공연 프로그램은 △스윙댄스 △아카펠라 △난타 △풍물놀이 △어쿠스틱밴드 △아카펠라 △힙합 △하와이안훌라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만나볼 수 있다. 전시 프로그램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국립대구박물관(장용준 관장 직무대리)은 오는 10월 1일 (토) 국립소속박물관과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문화향연 <박물관 속 기타> 공연을 개최한다. <박물관 속 기타>는 국립중앙박물관과 13개 소속박물관의 대표 유물, 전시를 함께 즐기는 공연이다. 인디밴드의 감미로우면서도 화려한 사운드를 만나볼 수 있다. 아티스트들은 각 회차별 키워드로 위안의 메시지와 음악의 즐거움을 관람객들에게 직접 전달해 깊은 여운이 남는 무대를 선사한다. 국립대구박물관 <박물관 속 기타>의 일곱 번째 공연으로 인디뮤지션 '헤르쯔 아날로그'가 무대에 오른다. 헤르쯔 아날로그는 '여행'이라는 키워드로 잔잔한 어쿠스틱 연주를 선보인다. '헤르쯔 아날로그'는 "낯선 골목을 다니는 과정 속에서도 내 돈 주고 먹지 않을 것 같던 음식을 도전하면서도, 심지어 평소 하지 않던 종류의 음악을 시도하는 과정 속에서도 여행 할 때와 비슷한 감정을 느낀다. 물건 하나하나가 작은 우주고 역사가 담겨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상상을 펼치기 시작하면 그마저도 여행이 되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든다. 제게 있어서 여행은 일상에서 벗어나는 행위 자체가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팟캐스트 음악분야 1위, 2000만 누적 히트의 클래식 콘텐츠를 만들어낸 안인모가 ‘Nostalgia’ 공연으로 국립극장을 찾아온다. 이번 공연은 다나기획사가 주관·주최한다. 가곡의 왕 슈베르트의 음악부터, 피아노의 시인 쇼팽, 화려함의 극치 리스트, 많은 이야기로 얽히고 얽힌 슈만과 브람스까지 낭만 시대를 평정한 음악가들의 삶과 음악이 펼쳐진다. 슈베르트의 백조의 노래 중 세레나데를 시작으로 물레 잣는 그레첸, 아르페지오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로 포문을 연다. 그리고 쇼팽과 리스트를 연달아 연주한다. 쇼팽의 녹턴, 왈츠, 피아노와 첼로를 위한 소나타, 에튀드를 이어 리스트의 사랑의 꿈으로 사랑스러운 1부를 장식한다. 2부에서는 슈만과 브람스의 이야기가 흘러나온다. 어린이 정경 중 ‘트로이메라이’부터 3개의 로맨스 중 ‘꾸밈없이 진심으로’, 판타지 슈티케 3번으로 슈만의 음악을 나누고, 발라드 1번, 4개의 엄숙한 노래, 첼로 소나타 2번으로 브람스의 음악이 화답한다. 피아니스트이자 클래식 연구가 안인모는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및 동 대학원 졸업 후 미국 워싱턴 D.C.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 후 다수의 연주 경험을 쌓았으며,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