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상미 기자]보건당국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첫 진원지인 경기도평택성모병원의 중간 역학조사 결과를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전파경로에 대해 보완 조사가 필요하다는 이유를 들었지만 정보 공개가 지나치게 소극적이라는 비판과 함께 은폐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돼 파문이 일고 있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열어“평택성모병원에서 실시한 전파 경로에 대한 역학조사는 보완이 필요하다는 역학조사전문위원회의 의견을 받아들여 대외적인 발표는 하지 않기로 결론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지난달 27일 질병관리본부가 참여하는 역학조사전문위원회를 열고 전파경로에 대한 중간 조사결과를 공유했다. 위원회는 감염내과, 예방의학과 등 전문가 9인으로 구성됐다.
이를 두고 일부 언론은 역학조사에 참여한 민간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복지부 장차관이 역학조사 중간 보고서에 대해 비공개 지시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대책본부는 “향후 전파경로에 대한 추가연구를 진행하고 국내외 전문가들의 자문의견을 수렴해서 발표하는 게 좋다는 것이 그날의 회의 결론이었다”며 “장차관이 비공개 지시한 것이 아니고 위원회의 결정 사항을 받아들인 것이다”고 해명했다.
당시 회의에서는 병원감염의 중요한 전파 경로는 매개물에 의한 접촉인데 이 부분에 대한 조사가 미흡하고 폐쇄회로(CC)TV 분석은 사각지대가 많아 밀접접촉자를 판단하는데 부족한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또 에어로졸(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미립자) 감염 가능성에 대한 실험은 단시간에 고농도를 조건으로 진행했지만 다양한 조건에서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은경 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현장점검반장은 “메르스 감염경로에 대한 결론은 국제적으로도 굉장히 중요한 문제로, 신중한 검토와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평택성모병원 외에 삼성서울병원 등 다른 병원에서도 전파 경로나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조사 중인 자료를 공개하는 것은 혼란을 줄 수 있지 않느냐는 의견이 나왔다. 조사를 보완하고 다른 병원 결과가 나오면 함께 발표할 것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평택 경찰관인 119번 환자는 2차례 메르스 검사에서 음성으로 확인돼 격리에서 해제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폐렴 후유증를 치료해야 해 아직 퇴원단계는 아니라고 대책본부는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