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양하은, 생애 첫 세계대회 금메달 "지금까지 했던 것보다 독하게 해야"

URL복사

[시사뉴스 김기철 기자] 생애 첫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목에 건 양하은(21·대한항공)이 "대회를 치르면서 정말 많은 것을 느꼈다"고 소감을 전했다.

지난 3일 중국 쑤저우 인터내셔널 엑스포센터에서 끝난 2015 쑤저우 세계탁구선수권대회 혼합복식에서 우승을 차지한 양하은은 4일 오후 선수단과 함께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양하은은 지난 1일 열린 결승에서 중국의 쉬신(25·중국)과 호흡을 맞춰 일본의 요시무라 마하루(22)-이시카와 가스미(22) 조를 4-0(11-7 11-8 11-4 11-6)으로 제압했다.

국제탁구연맹(ITTF)은 중국의 독식을 막기 위해 이번 대회부터 다른 국적의 선수들이 복식조를 구성하는 것을 허락했는데 양하은이 혜택을 누리게 된 것이다.

한국 국적의 선수가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목에 건 것은 1993년 예테보리 대회 여자단식 현정화(46) 현 렛츠런 감독 이후 22년 만이다.

세계 정상급 기량을 갖춘 두 선수는 마치 오랜 복식조인듯 파죽지세로 승리를 쌓았다. 8강부터 결승까지 3경기를 치르는 동안 한 세트를 빼앗겼을 뿐이다.

양하은은 "1회전이 열리기 이틀 전부터 하루에 한 시간씩만 함께 운동을 했다. 경기 당일 한 시간 동안 호흡을 맞췄는데 말도 안 될 정도로 호흡이 잘 맞았다"고 전했다.

한중 복식조에는 양국의 많은 관계자들이 힘을 보탰다. 중국 탁구선수 출신 자오즈민과 결혼한 안재형 감독은 통역을 자처했고 류궈량 중국대표팀 감독도 짬을 내 두 선수를 지도했다.

양하은은 "많은 분들이 도와줬기에 가능했던 우승이었다. 혼자 힘으로는 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고마움을 전했다.

ITTF에서 주는 트로피는 하나 뿐이다. 양하은의 손에는 혼합복식 우승 트로피가 들려있었다. 양하은은 "내가 트로피를 안고 있으니 쉬신이 흔쾌히 가지라고 했다. 그래서 내가 갖고 왔다"고 웃었다.

비록 짧은 시간이었지만 쉬신은 양하은에게 강렬한 인상을 심어줬다. 세계 1위라는 성과 뿐 아니라 대회를 치르면서 많은 것을 느낀 듯 했다.

양하은은 "심리적인 면이나 기술 등 그동안 느끼지 못했던 부분들을 느낄 수 있었다. 몸의 움직임이나 공에 힘을 주는 방법, 순간 판단력을 얻는데 도움이 됐다"며 "사실 지난해까지는 국내에서도 1등을 잘 못했는데 이번에 그 단계를 넘어선 것 같다. 자신감이 생겼다"고 밝혔다.

이기는 법을 알게 된 양하은의 다음 목표는 내년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이다. 단식에서 16강에 오르면서 가능성을 입증했다.

양하은은 "지금까지 했던 것보다 더 독하게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간이 많지 않아 연습을 더 열심히 해야 할 것 같다. 기술적인 부분을 보완해 올림픽에서도 좋은 성적을 내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광복 80주년 기념 정책포럼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연구원(원장 오균)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8월 14일(목) 오후 2시부터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에서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주제로 ‘제4회 서울연구원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의 공간 변화를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흐름을 되짚고, 향후 100년을 향한 서울의 미래 비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정책포럼은 △신민철 서울연구원 연구기획조정실장이 사회를 맡고,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의 ‘광복 이후 서울의 공간적 변화와 역사적 의의’ 주제발표 △김인희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미래 변화와 준비’ 주제발표 △종합토론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 시민들의 도시의 탄생’이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의 탄생과 성장 과정과 시민들의 삶이 각종 개발 사업에 의해 어떻게 바뀌었는지에 주목해서 설명한다. 특히 현대 서울의 정체성을 권력 있고 힘 있는 사람들이 주인공이던 왕조 시대의 수도에서 찾을 것인지, 아니면 모든 시민이 주인공인 민주공화정의 수도에서 찾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