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북한이 1일 현재 진행 중인 남·북·러 석탄시범운송사업에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북한으로의 자금유입 규모 등 쟁점 탓에 본계약 성사를 장담하기 아직 어려워 보인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오전 북한 나진항 석탄 선적 현장 점검 결과와 관련, "북한 당국이 에볼라 바이러스 방역과 관련해서도 우리에 특별 조치를 해줬다"며 "북한 철도성 관계자나 나선시 인민위원회 관계자들도 이 사업에 집중하는 모습이었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3사 컨소시엄 기업 전문가들이 보고 나도 직접 봤는데 2차실사 때보다 전반적으로 (나진항)시설이 개선돼 있었다"며 "물건 싣는 장비가 설치돼있었다. 부두도 준설돼 용량이 큰 배가 들어갈 수 있게 돼있었다. 컨베이어벨트도 설치돼 선적을 빨리 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코레일·포스코·현대상선 등 국내 3개기업 컨소시엄과 정부는 시범운송을 1번 정도 더 실시한 뒤 본계약 협상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나진항 선적현장에서도 약식 협상이 이뤄졌다. 통일부 당국자에 따르면 컨소시엄 3사는 나진항에 머무는 동안 러시아 철도공사 측과 항만·철도이용료 등 석탄운송사업 전반의 비용 문제를 협의했다.
다만 컨소시엄 3사와 북·러 합작사인 '나선콘트란스'간 본계약은 올해 안에 성사되긴 어려워 보인다. 정부 역시 본계약 시점을 내년정도로 보고 있다. 성사 여부도 양측간 협상에 따라 좌우될 전망이다.
북한에 전달되는 돈 역시 본계약 협상의 쟁점 중 하나가 될 전망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에 그렇게 많은 돈이 들어가진 않는다.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지는 않아서 북한에 들어가는 돈이 많지 않다"고 해명했지만 이번 사업으로 인한 북한의 수익은 대북제재인 5·24조치와 충돌한다는 측면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특히 본계약이 체결돼 본격적으로 수익이 발생하게 되면 5·24조치와의 충돌 문제는 더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통일부는 "금액이 어떤 목적으로, 그리고 어떤 경로를 통해 북한에 들어가느냐가 중요하지 금액의 많고 적음으로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지만 우려의 목소리는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아울러 남북관계 악화로 인한 사업중단 우려 역시 본계약 체결의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컨소시엄 3사가 정부에 지급보증을 요구하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지만 이 문제 역시 협상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