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정부가 다각적인 중국 수출 활성화 대책을 추진한다.
6일 산업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들어 중국 수출이 감소함에 따라 관련 부처 협의를 거쳐 이달 중 '중국수출 종합대책'을 발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들어 미국 등 선진국에 대한 수출은 늘어나고 있지만 수출비중이 가장 높은 중국으로의 수출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올 들어 7월 20일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대(對)중국 수출은 764억5500만 달러로 전체 수출에서 24.6%를 차지했다. 수출 대상국 가운데 비중이 가장 높다. 미국이 373억9300만 달러로 12.0%, 일본이 179억1100만 달러로 5.8%를 나타냈다.
하지만 중국 수출은 5월 이후 계속 마이너스 행진을 펼치고 있다. 대중국 수출 증가율은 ▲5월 -9.4% ▲6월 -1.0% ▲7월 -12.2% 등으로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시장의 구조 변화가 수출 확대의 걸림돌이라고 진단한다. 불과 5~6년 전만 해도 상품을 만들기만해도 잘 팔렸지만 그 사이에 중국이 너무 빨리 컸다는 것이다.
이봉걸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이 이렇게 빨리 변할지 아무도 몰랐다"며 "대기업은 준비가 되어 있겠지만 중소기업은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국내 기업들이 중국 내수시장 진출에 필요한 지원 대책을 마련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우선 자금지원 방안을 검토중이다. 직접적인 자금 지원은 물론 우량중기에 한해 보증 등을 적극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소기업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중국기업과 연계하는 방안도 모색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상품별로 맞춤형 대책도 나올 공산이 크다.
주요 품목별로는 LCD, 석유화학 제품 수출이 줄면서 전체적인 수출 감소로 이어졌다. 이들 제품의 경우 중국 현지의 생산기지 확충이 가장 큰 이유로 지적된다.
아울러 한국 드라마와 가요 등을 통해 한류 마케팅을 적극 펼치는 한편 온라인 쇼핑망을 이용한 수출 촉진 방안도 제시될 것으로 전해졌다.
코트라 관계자는 "중국에서의 생산확대가 우리 제품의 수출 감소를 야기시켰다"며 "산업경쟁력 강화 및 신규 수요 발굴 등을 통해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