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실시간 사고정보가 도로전광판 이외에 민간의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을 통해서도 제공된다.
교통정보 제고 측면에서 긴 이격거리 때문에 한계로 지적됐던 실시간 사고정보 제공이 일부 해소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5일 지속가능한 첨단교통체계 실현을 담은 '민관협업을 통한 ITS 혁신방안'을 마련해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이에 따라 국가와 민간이 각기 추진하던 교통정보 수집·제공이 앞으로는 상호 협력 하에 추진된다.
정부는 민간이 자체적으로 생성 중인 전국의 소통정보를 활용해 막대한 인프라 구축비용을 절감하는 대신, 실시간 교통안전정보 수집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집중할 계획이다.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는 도로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교통정보를 취득·제공해 소통흐름을 관리하고 안전을 향상시키는 첨단교통시스템이다.
정부는 지난 20여년간 ITS를 구축·운영해 오면서 ITS를 통해 통행속도의 증진, 교통혼잡 비용의 절감뿐만 아니라 민간 교통정보시장을 창출하는 등 다양한 성과를 이뤄냈다.
하지만 정부의 계획대로 전국에 ITS를 확대 구축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쳐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며, 장비 노후화에 따른 유지관리 비용도 재정부담으로 작용이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실제로 현재 ITS 계획 총 연장 6만3000㎞ 대비, 실제 구축은 1만3500㎞(21%) 구축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교통정보 수집에 있어서 소통정보는 민간이 수집하는 정보를 활용하고, 국가는 안전정보 수집에 집중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할 계획이다.
전국단위의 소통정보를 수집하려면 향후 90년에 걸쳐 약 1조3700억원의 예산이 필요했지만, 이번 민관혀법을 통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전국의 교통 혼잡데이터를 축적해 혼잡도로 개선, 신규 사업성 분석 등에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9월까지 민간기업과 정보공유 협의를 마치고 연내 준비과정을 거쳐 내년부터는 전국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