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정부는 리비아 정세가 악화됨에 따라 현지 진출해 있는 우리 건설기업과 근로자들을 8월부터 단계별로 철수시키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리비아가 정세 악화로 여행금지국으로 지정됨에 따라 우리 건설기업 및 근로자를 인접국으로 철수·대피시키기 위한 안전대책을 수립했다고 31일 밝혔다.
리비아에는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 대우건설, 두산중공업 등 국내 건설사 30여 곳과 근로자 40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현재까지 우리 건설기업과 근로자의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기업별로 외교부·국토부와 협의해 세부 대피계획을 수립하고 단계별로 철수할 계획이다.
철수방법은 트리폴리 등 서부지역 근로자들은 인접국 또는 상대적으로 덜 위험한 인근도시로 이동한 후 항공 등을 통해 제3국으로 이동하고, 동부지역 근로자들도 육로로 인접국 및 해상으로 철수할 계획이다.
정부는 특히 가장 치안이 열악한 트리폴리 및 벵가지 거주 근로자들은 즉시 철수를 독려하고, 상시 연락이 가능하도록 통신수단을 확보하도록 요청했다. 소규모 체류 인력을 보유한 업체들은 대기업과 공조하여 대피계획을 수립하도록 조치했다.
국토부는 해외건설협회, 건설업체 임직원으로 구성된 해외건설 비상대책반(반장 건설정책국장 송석준)을 이날부터 상황 종료 시까지 운영할 계획이다.
인천공항공사 및 항공사와 협조해 리비아 공항 폐쇄 및 운항정보를 공유하고, 인접국으로 대피가 곤란한 긴급상황에 대비해 재외국민 철수를 위한 대책도 병행해 운영할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해외건설현장 위기사태 대응을 위한 비상대책반'을 가동해 우리 건설기업과 근로자의 피해상황 확인 및 사고조치계획 마련, 외교부 등 유관기관과 협조 업무를 담당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리비아는 지난 5월16일 동부 벵가지에서 퇴역장성이 이끄는 '리비아 국민군(LNA)'과 '이슬람 성향 테러단체(AAS)' 간 교전으로 대분의 공항이 폐쇄되고, 수도인 트리폴리와 동부 주요 도시인 벵가지 등에서 교전이 격화되는 등 치안상태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