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경기침체가 올 상반기 소상공인 업계도 강타했다.
31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7~22일 도·소매, 음식·숙박업, 기타 서비스업 등 전국 주요업종 소상공인 4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4 상반기 소상공인 경영실태 및 하반기 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7.5%는 상반기 경기가 어려웠다고 밝혔다. 양호했다는 응답은 3.7%에 불과했다.
특히 응답자 중 76.3%는 지난해 하반기에 비해 경영수지가 악화됐다고 답했다.
경영악화 요인으로는(복수응답) 소비위축에 따른 판매부진(67.2%)을 가장 많이 꼽았다. 동일업종 경쟁심화(36.8%), 낮은 수익구조(21.3%), 제품·재료비 상승(17.2%), 인건비 증가(16.1%) 등도 있었다.
또 10명 중 7명(65.4%)은 상반기에 외부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외부 자금은 원부자재구입(20.6%)에 가장 많이 사용됐고 다음으로 경상비(13.4%), 인건비(11.0%), 비품구입(10.5%), 상가보증금 및 임대료(9.9%) 등의 순으로 쓰였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43.9%는 원금 상환은 못한 채 이자만 납부했고, 상환에 어려움을 겪거나 연체가 발생한 비율도 각 7.9%와 5.3%에 달했다. 원금을 일부 상환했다는 응답률은 23.9%에 그쳤다.
경기침체가 지속될 경우엔 10명 중 각 2명 꼴로 휴·폐업 고려(21.8%), 인원감축 및 인건비 절감(21.6%), 사업축소(20.1%) 등을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심각성을 더했다. 이 외에 마케팅·판촉확대(9.5%), 사업전환(8.6%) 등도 고려하고 있었다.
하반기 경기에 대해서는 과반인 54.9%가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고 현상 유지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29.7%에 달해 경기 전망을 어둡게 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낙관하는 비율은 14.7%에 불과했다.
소상공인 활성화를 위한 정책(중복응답)으론 공과급 등 세부담 완화 요구(52.0%)와 자금지원 확대(43.2%), 신용카드수수료 인하 및 현금·체크카드 할성화(41.4%), 소비촉진 운동(24.8%) 등을 요구했다.
김정원 중기중앙회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내수부진과 세월호 여파 등으로 국내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소상공인들이 힘든 시기를 보냈다"며 "새경제팀이 내수활성화를 위한 일관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고 소상공인 정책자금 확대 등을 시급히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