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법인세율 인하로 조세 수입이 줄어들면서 정부의 총수입 규모가 감소했다. 이 영향으로 공공부문의 총지출이 명목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2013년 공공부문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의 총수입 규모는 462조7000억원으로 전년(464조8000억원)에 비해 2조1000억원(0.5%) 줄었다.
공공부문은 정부와 비금융공기업, 금융공기업을 포함한다.
이 같은 감소는 기업의 영업실적이 부진한데다가 법인세율 인하 등으로 법인세 세수가 전년에 비해 2조원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정부는 2012년 과세표준 2억 초과~200억 이하 구간의 법인세율을 22%에서 20%로 낮춘 바 있다.
정부의 총지출규모도 450조2000억원으로 전년(450조8000억원)에 비해 6000억원 감소했다. 조세수입이 줄어들면서 지출 여력이 감소한 탓이다.
이는 공공부문의 총지출이 명목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에도 영향을 줬다. 이 비중은 2013년 47.6%로 전년(48.7%)에 비해 1.1%포인트 하락했다.
해당 수치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51.7%까지 치솟았다가 ▲2010년 47.7% ▲2011년 48.5% ▲2012년 48.7% ▲2013년 47.6% 등으로 48% 전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김성자 경제통계국 지출국민소득팀 과장은 "비금융공기업의 매출은 전력요금 인상 등에 힘입어 늘어난 데 반해 정부의 조세수입과 금융공기업의 매출이 감소하면서 총지출의 명목GDP 대비 비중도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국세수입은 201조9000억원으로 2012년보다 1조1000억원 감소했다. 국세수입이 전년에 비해 감소한 것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2조8000억원)을 제외하고는 2000년대 들어 처음이다.
세목별로 보면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로 경기에 민감한 법인세와 부가가치세 증가세가 크가 둔화됐다.
정부와 더불어 한국은행과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금융공기업의 총수입 규모도 축소(38조1000억원→36조원)됐다. 예대마진 축소와 증권거래 부진이 주요인이다.
비금융공기업의 수입은 2012년 166조원에서 2013년 177조3000억원으로 11조3000억원(6.8%) 늘었다. 다만 발전소 건설로 에너지 공기업의 투자지출과 토지매입이 증가해 총지출 규모도 증가해 지출초과 규모가 전년(-21조3000억원)에 비해 3조원 확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