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박근혜 정부가 '불량식품 추방'을 외치고 있지만 식품위생문제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13년도 리콜(자진, 권고, 명령) 실적 총 973건을 분석한 결과, 식품분야의 리콜이 316건(32.5%)으로 가장 많았다고 30일 밝혔다.
전체 13개 리콜 관련법령 중 식품위생법 위반 등 식품분야 리콜은 지난해(349건)보다는 33건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7월 A사의 비타민캔디에서 허용 외 식품첨가물인 글루코산아연 등이 나왔고, 9월에는 A사의 소시지에서 세균이 기준치 이상 검출됏다. 이에 따라 해당사업자에게 제품 회수 및 폐기 명령 등이 내려졌다.
특히, 사안이 심각하거나 사업자가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바람에 취해지는 리콜명령이 271건으로 대부분(85.7%)을 차지한 반면 사업자가 먼저 문제점을 인지해 자발적으로 시정에 나선 자진리콜은 45건에 불과했다.
반면 자동차분야(88건)는 전년(76건)에 비해 리콜처리 건수는 증가했지만 모두 자진리콜로 처리됐다. 이외에도 의약품(233건, 24%), 공산품(196건, 20.1%) 등이 주요 리콜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위 관계자는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소관 부처의 적극적인 법 집행과 업계의 자발적인 리콜 증가 등에서 비롯된 결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