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정부가 로봇 산업 발전 방안을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서울 역삼동 기술센터에서 '범부처 로봇산업정책협의회'를 열고 오는 2015년부터 2조6000억원이 투입되는 '제 2차 중기 지능형로봇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지능형로봇 기본계획은 '지능형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되며 지난 2009년 1차 기본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정부는 2차 중기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을 통해 ▲로봇 연구개발(R&D) 종합역량 제고 ▲로봇수요의 전(全)산업 확대 ▲개방형 로봇산업 생태계 조성 ▲로봇융합 네트워크 구축 등 4대 과제를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먼저 로봇 R&D 분야와 관련해 재난대응로봇, 로봇헬스타운 등 앞으로 높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는 전문서비스용 로봇 분야에서의 대형 R&D 프로젝트 추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와 함께 다양한 사회적 요구 등을 로봇 R&D 분야에 반영할 수 있도록 수요기획전담조직을 신설하는 한편 기술·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였던 로봇부품(S/W), 서비스(무인운반차, 감정로봇 등) 분야 R&D에 대한 투자를 강화키로 했다.
로봇 기술의 제조·서비스 분야 확산을 위한 방안도 추진된다.
정부는 제조, 자동차, 의료·재활 등 로봇 유망분야에 대한 기술 접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7대 로봇융합 비지니스 전략 로드맵'을 수립·추진키로 했다.
특히 전문서비스청소로봇, 중소제조로봇, 농축산로봇 등 그동안 로봇 보급사업을 통해 성과가 검증된 분야에 대해서는 보급사업을 강화하는 한편 업그레이드 된 로봇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개방형 로봇 생태계 조성을 위한 방안도 중·장기적으로 실시된다.
정부는 국민 안전로봇 프로젝트, 로봇 헬스타운 및 로봇 비즈니스벨트 조성 등 대형 로봇 R&D 프로젝트를 통해 제조생태계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국내 로봇제품의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인증·표준 국제화 추진, 중소기업 중심의 로봇전문인력 양성 등도 추진키로 했다.
산업부 김재홍 1차관은 "국내 로봇산업이 주력산업으로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핵심기술 확보와 함께 타(他)산업의 비즈니스·서비스 모델에 기반한 로봇수요 확대가 필수적"이라며 "정부도 이를 집중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